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는 관료 출신이 40%를 차지하는 반면 미국 포천이 선정한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는 74%가 재계 출신인 것으로 조사돼 대조를 이뤘다.30대 그룹 중 영풍·두산·CJ·OCI·동국제강·신세계·롯데·효성 등 8개 그룹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50%를 넘었다. 반면 미래에셋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단 한 명도 없고, 포스코·LG·KT도 10%대에 그쳤다.2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30대 그룹 187개 상장사의 사외이사 609명과 미국 포천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 815명의 출신 이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 한국은 '관료', 미국은 '재계' 출신 사외이사를 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235명으로 38.6%에 달했다. 이어 186명을 배출한 학계로 30.5%를 차지했다. 미국기업들이 사외이사로 가장 선호하는 재계 인사는 97명으로 15.9%에 불과했다. 그 외 언론(25명·4.1%), 공공기관(24명·3.9%), 법조(17명·2.8%), 세무회계(14명·2.3%), 정계(4명·0.7%) 출신 순이었다.포천 100대 기업은 815명의 사외이사 중 재계 출
최근 중국 증시 폭락으로 아시아 최고갑부인 중국 왕젠린(王健林) 완다(萬達) 그룹 회장의 자산 가치가 약 130억 달러(약 15조4596억원) 이상 줄었다고 CNN머니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중국 증시가 급락하기 시작한 6월12월 이후 왕 회장의 상장기업이 상하이 증시와 홍콩 증시에서 폭락하면서 지난 24일부터 이틀 사이에만 36억 달러(4조2800억원) 감소하는 등 올해 여름 그의 총 자산 중 약 3분의 1이 날아갔다.CNN머니이 왕 회장의 자산손실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완다 상업부동산의 시가총액은 6월12월 이후 38% 떨어져 약 90억 달러, 완다 시네마라인도 36% 하락하면서 42억 달러, 완다 호텔개발이 49% 감소해 6000만 달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완다 시네마라인은 중국 증시 하락 전부터 주가가 떨어져 약 2달간 주식 거래가 중단되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완다 시네마라인과 완다 상업부동산 모두 작년 상장하면서 왕 회장의 자산을 크게 불려주었다.'중국판 포브스' 후룬바이푸(胡潤百富·Hurun Report)는 지난주 왕 회장이 리카싱(李嘉誠) 홍콩 청쿵그룹 회장을 밀어내고 중화권 최고 부자에 등극했다며 그의 자산 가치를 426억 달러
대우조선해양이 자회사 에프엘씨(FLC) 매각 작업에 들어갔다.대우조선해양은 3곳의 인수 의향자로부터 25일 입찰 제안서를 받았다고 26일 공시했다.연수원(퓨처리더십센터)과 골프장(써니포인트컨트리클럽)을 운영하는 이 회사는 대우조선이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지난해 매각을 추진했으나 적정 가격을 제시한 인수 희망자가 없어 무산됐다. 매각가는 800억원대로 추정된다.대우조선 관계자는 "늦어도 다음주까지 우선협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라며 "협상 일정을 감안할 경우 9월말이나 10월 초에는 매각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대우조선은 본업인 조선업과 무관한 자회사와 자산을 모두 정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 다동 사옥과 신문로 건물, 당산동 사옥도 매각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당산동 사옥은 지난해 매각이 불발됐다.대우조선 관계자는 "다동 사옥, 신문로 건물, 당산동 사옥 모두 매각 대상"이라면서 "아직 구체적인 매각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부가 고가의 가방이나 시계 등 사치품에 대한 과세기준가격을 상향한다. 연말까지 승용차, 대용량 가전제품 등 특정 물품을 구매할 때 붙는 개별소비세에는 탄력세율을 적용하기로 했다.물가 상승 및 소득수준 상향, 메르스로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 등을 감안해 개소세 과세기준 합리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정부는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비활성화방안'을 확정했다. 개별소비세의 세율은 경기조절, 가격안정, 수급조정에 필요한 경우 법률에서 정한 세율의 30%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다.사진기, 시계, 가방, 모피, 융단, 보석, 귀금속 등에 대해서는 과세 기준가격을 상향하기로 했다. 200만원 초과 금액의 20%를 부과하던 것을 500만원 초과로 기준을 바꾸는 것이다.예를 들면 예물가방 등으로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높은 루이비통 '에삐 브레아(MM)', '베르니 브레아(MM)'의 경우 매장 가격이 각각 299만원, 327만원으로 지금까지는 개소세 과세대상 품목에 해당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 가방을 사더라도 개소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가구는 1조당 800만원 또는 1개당 500만원에서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와 추석 연휴에 대한 기대감으로 9월 중소기업들의 경영상 애로는 다소 풀릴 전망이다.중소기업중앙회가 30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중소기업 전 산업 업황전망건강도지수(SBHI)는 이번달에 비해 12.29p 상승한 91.6을 기록했다. SBHI는 지난 5월 이후 4개월만에 상승했다.SBHI는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다음달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전망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100 미만이면 반대다.제조업의 경우 이번달에 비해 7.2p 증가한 87.6로 조사됐다. 제조업의 SBHI 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0p 하락한 수치다.제조업의 생산(83.1→88.7), 내수(79.5→87.6), 수출(81.5→88.9), 경상이익 (78.2→83.5), 자금사정(82.0→85.3)과 관련된 SBHI 지수는 모두 이번달에 비해 증가했다. 고용수준(99.5→99.5)은 보합세를 기록했다.업종별로는 음료(116.8)와 의료용물질 및 의약품(111.3) 분야에서는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종이 및 종이제품'(70.9→84.6)과 '가죽가방 및 신발'(72.1→84.2
메르스 여파로 올해 2분기 외국인이 국내에서 결제한 카드 금액이 7년 9개월만에 마이너스 증가세를 나타냈다.26일 여신금융협회 소속 여신금융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4~6월 비거주자(외국인)의 국내카드이용금액은 총 27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2분기 보다 6.4% 감소했다.비거주자의 카드이용 금액이 1년전 보다 감소한 것은 지난 2007년 3분기 이후 7년9개월 만이다.이는 지난 5월 메르스 확진자가 처음 발견된 이후 6월 중 외국인 관광객 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나타난 결과다.2분기 우리나라를 방문한 입국자수는 347만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8% 감소했다.이 때문에 2분기 여행수지 적자 규모 역시 40% 가까이 커졌다. 지난해 2분기 14억6000만 달러였던 여행수지 적자가 올해 총 20억4000만 달러로 불어났다.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지난달 정부가 메르스 종식을 선언하긴 했지만, 이달말까지는 메르스 영향으로 외국인의 카드이용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일시적 이벤트이기 때문에 점차 상승세를 회복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외국인이 연일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도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 같은 양상이 최소 올 4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이 같은 기조에 반전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부진한 중국 경제의 정상화에 따른 이머징 마켓의 회복에 있다는 분석이다.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외국인이 코스피시장에서 이날까지 15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하고 있다.외국인의 순매도세의 시작은 지난 5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부터 25일까지 총 14거래일간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순매도한 금액은 무려 3조1868억원에 달한다.현재도 외국인은 순매도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미 약 3700억원의 순매도를 기록 중이다.이처럼 국내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는 건 이머징마켓(신흥시장)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져서다.KDB대우증권 한요섭 연구원은 "중국발 리스크와 원자재 급락, 환율 약세 등의 각종 악재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이머징마켓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외국인들이 비단 한국시장을 안 좋게 봐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라며 "외국인의 자금이탈 현상은 한국뿐만 아니라 이머징마켓 전반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미 글로벌 이머징편드에서는 5~6조원의 자금이 빠진 상
중국 인민은행이 기준금리와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하 조치를 단행한 뒤 상하이 증시는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하고 있다.한국과 일본, 홍콩 증시도 강세를 보이면서 반등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26일 오전 10시11분(현지 시간) 현재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6% 내린 2954.32를 기록 중이다.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0.53% 상승 출발, 5분 만에 반락하며 1% 넘는 낙폭을 보인 뒤 다시 1% 가까이 오르는 등 강보합과 약보합권 사이를 오가고 있다.이는 중국 인민은행이 금리와 지준율을 낮추면서 적극적인 부양의지를 보인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금융투자업계에서는 전일 단행한 일련의 인하 조치가 단기적으로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피델리티자산운용 메튜 서덜랜드 아시아 상품 부문장은 "금리와 지준율 인하 형태의 추가 완화 조치가 하반기 경기 부양에 기여할 전망"이라며 "중국의 자본 개방을 필요로 하고 있고, 금융 개혁이 진행 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중국 증시가 3000선 바로 아래에서 상승 기회를 노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주변 아시아 시장 주요 지수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한국 시각 오전 11시14분 현재 일본
9월에는 계절적 성수기와 부동산 시장 호조에 힘입어 올해들어 가장 많은 분양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2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9월중 분양예정 아파트는 총 6만6110가구에 이른다. 최근 3년간 9월 평균 분양물량(2만2696가구)보다 4만3414가구나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특히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가 13개 단지나 공급되며 분양 물량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수도권 분양물량은 전월대비 2만7130가구 증가한 4만6276가구에 이른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반포동 '반포센트럴푸르지오써미' 751가구, 서초동 '래미안에스티지S' 593가구, 성동구 금호동1가 'e편한세상신금호' 1330가구,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을 재건축한 '헬리오시티' 9510가구 등 1만4685가구를 선보인다.경기도에서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 'e편산세상(A-45 B/L)' 1526가구 등 3만363가구로 분양물량이 풍성하다. 인천에서는 남동구 서창동 '인천서창(2 B/L)' 1228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지방은 전월대비 149가구 증가한 총 1만9834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충남이 4501가구로 가장 많고 ▲세종(3315가구) ▲강원(2124가구) ▲경남(1908가구
푸른 파도와 하얀 모래로 세계적 관광지로 유명한 하와이의 와이키키 해변에 심한 폭우로 유입된 약 50만 갤런(190만ℓ)의 생활하수와 쓰레기가 유입됐다는 당국의 경고판이 설치되면서 25일부터 사람의 발길이 끊겼다.그러나 6.4㎞에 달하는 해변에서의 수영 금지, 알라모아나 해변공원 폐쇄를 알리는 경고에도 불구, 10여명의 관광객들은 물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젊은 부모들이 아기를 데리고 해수욕을 하는 경우도 일부 보였다.친구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에서 와이키키로 놀러 왔다는 카르멘 안타키는 "많은 사람들이 겁이 나서 물에 들어가지 못하지만 우리는 그래도 수영을 한다"고 말했다. 어차피 LA 지역의 바닷물도 오염돼 있기는 마찬가지여서 개의치 않는다는 것이다.하와이 지역에 내린 심한 폭우로 24일부터 하수 시스템 전체의 오수가 넘쳐나기 시작해 약 50만 갤런의 하수가 맨홀로부터 역류해 올라왔다.호놀룰루의 환경 담당관 로리 카히키나는 기자들에게 "이럴 때는 수영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고 해수욕장의 인명구조원들도 바닷물 오염을 경고하고 있다.하지만 이들은 행정적인 단속권은 없어서 관광객들이나 주민들에게 입으로 경고를 전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다.캐나다에서 온 한
중국 주식시장 폭락으로 확산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도쿄 주식시장도 하락세를 이어가자 일본 여당이 지지율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이것은 견고한 주가가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의 정권 기반이 됐기 때문이라고 26일 요미우리신문은 보도했다.올 여름 내내 내리막길을 걷던 아베 총리의 지지율은 지난 14일 아베 총리가 발표한 '종전 70주년 담화'를 계기로 회복하는 모양새였다.25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아베 담화 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응답자는 40%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한 31%를 웃돌았다.그러나 아직 안보법제에 대한 일본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가 하락세마저 이어지자 여당인 자민당의 고민이 깊어지는 것이다.9월 국회 표결을 앞두고 있는 안전보장 관련 법안과 주가 하락이 겹치면 '더블 펀치'로 아베 정권의 체력을 앗아갈 수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설명했다.스가 요시히데(管義偉) 관방장관은 25일 강연에서 "주가가 요동치고 있지만 기업 수익이 최고조다. 노동시장 상황도 좋다. 일본 경제 자체에는 자신감을 갖고 있다"며 일본 경제의 견고함을 강조했다.그러나 내년 여름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어 자민당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의논하기 위한 한국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김동만)의 중앙집행위원회(중집) 회의가 26일 오전 11시 예정대로 개최됐다.지난 18일 금속·화학노련 및 공공연맹 등 산별노조의 실력행사로 복귀 논의가 무산된지 8일 만이다.이날 재소집된 중집은 중집위원 외 노조원들의 참관 없이 비공개로 진행된다. 이에 회의 참관을 원하는 일부 산별노조 조합원들이 회의 시작 전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실력행사나 저지 없이 순조롭게 회의가 시작됐다. 김 위원장은 회의 시작 5분 전인 10시55분께 회의장에 입장했다.김 위원장을 포함해 총 44명의 중집위원이 출석한 이날 회의로 한국노총은 지난 4월 노사정 대타협 결렬 선언 이후 4개월 만에 노사정위 복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앞서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중집 재소집일인 이날을 한국노총의 복귀 시한으로 통보한 바 있다. 한국노총이 이날 중집에서 노사정위에 복귀하지 않기로 결정하더라도 정부는 노동개혁을 강행할 방침이다.이 경우 노동계의 극심한 반발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만큼, 노사정위의 노동개혁을 납득시킬 명분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도 한국노총의 복귀 여부는 중요한 문제다.한국
최근 5년 간 한국을 방문하거나 일하는 외국인이 저지른 살인, 강간 등 강력범죄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6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유대운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강간·절도·폭력·사기 등 외국인이 저지른 범죄가 총 13만1184건이다.이중 5대 강력범죄에 해당하는 살인·강도·강간·절도·폭력 범죄는 총 5만2046건으로 전체의 39.7%를 차지했다. 또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연도별로 살펴보면 2010년 발생한 5대 강력범죄는 8185건, 2011년 1만164건, 2012년 1만720건, 2013년 1만1346건, 지난해 1만1631건이었다.구체적 유형별로는 폭력이 3만9858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교통사범(2만226건), 사기·횡령·배임 등 지능범죄(1만8621건), 절도(9012건), 도박(6756건), 마약류(1768건), 강간 및 추행(1956건), 강도(792건), 살인(428건) 등이 뒤따랐다.외국인 국적별로는 중국이 7만4742건으로 가장 많았다.이어 베트남이 1만672건, 미국이 8992건 순이었으며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4만2144건으로 가장 많고 서울이 4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26일 "시대적 절박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이번 기회에 국회의원 소선거구제를 바꿀 것을 제안한다"며 선거구별로 3~5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제'와 세대·계층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논의 테이블에 올리자고 제안했다.안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회의원 소선거구제를 개편하지 않으면 국회의원 300명 전원을 바꾸더라도 똑같은 국회의 모습이 될 수 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그는 "내가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소선거구제 개편"이라며 "이를 개편하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여러 중요한 현안을 해결하지 못하고 그대로 흘려보낼 수 밖에 없으며, 그 경우 국가적 위기가 올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그는 "과거 한시적으로 중선거구제를 했던 적이 있고, 그 때는 선거구별로 2명을 뽑았다"며 "하지만 2명을 선출하면 새누리당 우세지역에서는 새누리당만 2명, 새정치연합 우세지역에서는 새정치연합만 2명 선출되는 경우가 많다"며 "(선거구마다) 3~5명 정도를 선출하는 중선거구제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그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큰 범위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한 방법인데 이 범
정부가 26일 황병서 북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의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결과 관련 발언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북한에 합의 이행을 요구했다.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황병서 총정치국장의 발언에 우리가 구구절절이 말하진 않겠지만 합의문에 나와 있는 것이 정답"이라며 "앞으로도 북한이 이 합의사항을 잘 이행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정 대변인은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공동보도문 속 유감표명에 관한 해석 논란에 대해선 "북쪽이 이것(유감표명)을 넣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결국 이 항목이 들어갔다는 것 자체가 북쪽의 이 사건에 대한 시인이자 사과, 유감이라고 볼 수 있다"고 반박했다.앞서 황병서는 전날 북한 조선중앙TV에 직접 출연해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결과를 소개하며 "이번 북남 고위급 긴급 접촉을 통해 남조선 당국은 근거 없는 사건을 만들어 가지고 일방적으로 벌어지는 사태들을 일방적으로 판단하고 일방적인 행동으로 상대측을 자극하는 행동을 벌이는 경우 정세만 긴장시키고 있어서는 안 될 군사적 충돌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는 심각한 교훈을 찾게 됐을 것"이라고 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