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미국의 무역적자가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7일(현지시간) 올 1월 무역적자가 전월 대비 9.6% 늘어난 484억9000만 달러(계절조정치, 약 55조715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2년 3월 이후 최고치다. WSJ의 전망치는 487억 달러였다.WSJ는 미국의 무역적자가 이처럼 늘어난 것은 달러화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 가격 상승과 수입 가격 하락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 1월 수출은 전월 대비 0.6% 증가한 1921억 달러, 수입은 전월 대비 2.3% 늘어난 2406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월 미국은 반도체와 휴대전화, 자동차, 원유 등의 수입물량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1월 자동차 및 부품 수입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원유 수입 또한 2013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배럴당 유가는 2015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달러화 기준으로 미국의 석유 수출 역시 2015년 5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미국은 지난 1970년대 중반 이후 계속 무역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는 5000억 달러에 달했다.
미국 뉴욕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8일(현지시간) 전달한 취임 후 첫 의회연설에 힘입어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폭등했다.1일(현지시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전 거래일보다 303.31포인트(1.46%) 오른 2만1115.55에 마감해 사상 처음으로 2만1000선을 돌파했다.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2.32포인트(1.37%) 상승한 2395.96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도 78.59포인트(1.35%) 뛴 5904.03에 장을 마쳤다. 이번 상승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연설에서 미국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대규모 감세를 약속하고 1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에 나서겠다는 등 성장의 메시지를 전달한 데 힘을 입은 것으로 보인다.그는 "미국경제의 엔진을 다시 가동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팀이 법인세를 줄이는 역사적 세제 개혁안을 마련하고 있다. 기업들은 어느 지역에서 누구와도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중산층을 위한 막대한 소득세 감세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장 마감 직전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정기 경기동향 보고서인 '베이지
2016년 12월 미국 무역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3.2% 줄어든 442억 달러(약 50조7416억원)를 기록했다고 미국 상무부가 7일 발표했다.미국 무역적자 폭이 전달 대비로 감소한 것은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예상치는 450억 달러 적자였다.상업 항공기와 중장비, 자동차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수입 증대분을 어느 정도 상쇄했다.이로써 지난해 전체 미국 무역적자액은 2015년보다 0.4% 늘어난 5023억 달러로 3년째 확대하면서 2012년 이래 최대에 달했다.작년 수출액은 연료와 공업기계, 승용차 등을 폭 넓게 줄면서 전년 대비 2.3% 감소한 2조2094억 달러로 2년째 줄었다.수입액도 원유과 공업기계, 가전제푸므 의류 등을 감소하면서 1.8% 줄어든 2조7117억 달러로 떨어졌다.재화 거래에 한정한 무역적자액을 국가별로 보면 최대는 중국으로 3470억 달러, 일본이 689억 달러, 독일 649억 달러, 멕시코 632억 달러, 캐나다 112억 달러였다.미국 무역적자가 확대함에 따라 통상 문제를 더욱 강경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을 상대로 불공정 무역을 하면서 수백 만개의 일자를 빼앗아가는
미국 뉴욕증시가 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하락 마감했다.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04포인트(0.09%) 하락한 2만52.42로 마감했다.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역시 4.86포인트(0.21%) 하락한 2292.5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22포인트(0.06%) 낮은 5663.55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하락세로 출발한 지수는 마지막까지 하락세를 이어갔다. 특히 원유 가격 약세로 에너지 기업의 주가가 0.9% 떨어지며 가장 크게 하락했다.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에 따른 반대 시위 등의 위험이 미국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세계 1위의 자동차업체인 일본 도요타 자동차와 일본 4위 자동차업체인 스즈키가 6일 업무제휴를 개시하는 내용의 각서를 체결했다.NHK,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일본 언론 보도에 의하면, 양사는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세대 에코카 및 자동운전 자동차 기술 등에 업무를 제휴하기로 했다. 도요타 차는 보도자료를 통해 "환경기술, 안전기술, 정보기술, 상품군 보완 등 포괄적 분야에서 제휴를 실현해 나가는 방향으로 검토에 들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앞으로 업무 제휴를 위한 구체적인 제휴 내용을 마련할 방침이며, 향후 주식 보유 등 자본제휴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유럽이 전기자동차(EV) 분야에서 공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IT기업 등 타 업종 기업들도 자동차 업계에 뛰어드는 등 세계 자동차 업계의 경쟁이 격화하고 있는 상황으로, 도요타와 스즈키의 업무 제휴는 자동차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스즈키는 독일 폭스바겐(VW)과의 자본·업무 제휴를 체결했으나 지난 2015년 제휴 관계가 끝나면서 새로운 후원사가 필요한 상황으이다. 이번 양사의 업무 제휴도 스즈키 측의 타진에 도요타가 응하면서 성사된 것으로
"도요타자동차를 미국 제조업체 중 하나로 봐달라."일본 최대 자동차업체인 도요타 자동차(이하 도요타차)의 도요타 아키오(豊田章男) 사장이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본 자동차업계 비판과 관련해 이같이 말하며 이해를 구했다. NHK,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일본 언론에 의하면, 도요타 사장은 이날 도쿄(東京)에서 열린 자사의 한 행사 이후 기자단에게 "1980년대의 도요타와 현재의 상황은 크게 다르다"면서 "도요타차는 미국에서 현지 생산하고 있으며 판매망도 키워왔다", "우리도 미국 메이커 중 하나로 봐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도요타 사장은 특히 도요타의 대표 세단인 '캠리'를 예로 들며 "캠리는 특히 '메이드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차다"라면서 "미국 공장에서 미국 종업원이 미국 고객을 위해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도요타 사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을 재협상하려는 것과 관련해 "도요타는 그간 NAFTA의 테두리 안에서 노력해왔지만, 규정이 바뀌면 그에 맞춘 형태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NAFTA를 폐기 또는 재협상하겠다는 입장이다. NAFTA 협정 룰이 변경되면 멕시
지난해 6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결정(브렉시트) 이후 영국에서의 디자인·상표 출원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특허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허청은 '영국특허청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6년 하반기 영국의 디자인 출원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고 상표 출원도 21%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일 밝혔다.특허청에 따르면 디자인 출원 건수는 2015년 하반기 3455건에서 지난해 하반기는 6224건으로 크게 올랐고 상표도 같은 기간 2만6560건에서 3만2018건으로 증가했다.브렉시트 결정 전후인 2016년 상반기와 하반기의 출원 건수를 비교해도 증가 현상은 뚜렷해 지난해 하반기는 상반기에 비해 디자인은 61% 증가했고 상표는 8%가 증가했다.이 같은 변화에 대해 특허청은 기존의 EU 상표, 디자인 제도가 브렉시트 절차가 완료된 이후에는 영국에서 더 이상 효력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실제 브렉시트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허의 경우 2016년 하반기 1만802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 1만1572건에 비해 7% 감소, 출원건수가 오히려 떨어졌다.유럽특허청(EPO)을 통한 유럽 특허는 EU 설립 이전에 체결된 별도의 조약에 근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3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를 결행하면서 TPP에 큰 기대를 걸고 있었던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큰 실망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과 더불어 경제패권을 다투던 중국은 TPP 무산 위기를 반기면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추진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CNN방송은 24일(현지시간) 미국의 TPP 철회로 인해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에 어떤 파장이 일고 있는 지를 분석해 전했다.미국을 제외한 TPP 회원국 11개 나라 중 일본,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 브루나이 등 7개 나라와 미국 간 교역량은 지난 2015년 4000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전체 교역량의 60%에 달하는 규모다. 아시아와의 교역은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기둥 중 하나다. 지난 2015년 미국과 아시아 국가들 간 교역량은 전체 미국 무역거래의 24%를 차지했다. 이는 1995년 11%에서 2배 이상 급증한 규모다. 그해 일본 한 나라와의 교역량만 따져도 미국 전체 무역거래의 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중국은 미국과의 거래에서 어마어마한 흑자를 기록해
세계은행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2.7%로 전망해 지난해 6월 전망에서 0.1%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이는 무역 정체와 투자감소, 또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것으로, 지난 해 2.9% 성장보다 낮은 수준이며 2008년 뉴욕발 금융위기 발발 이후 가장 둔화한 수준이다. 세계은행은 또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2.9%로 전망해, 지난해 6월 전망치에서 0.1%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올해 선진국은 1.8%, 개발도상국은 4.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한국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세계은행은 특히 미국경제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감세정책과 대규모 인프라 투자정책에 힘입어 올해 2.2%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내년에는 2.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만약 트럼프 정부가 기업세를 기존 35%에서 15%로 낮추는 공약을 이행할 경우 올해 미국 경제 성장률이 2.5%, 2018년에는 2.9%를 기록할 수있다고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트럼프의 인프라 투자 확대정책이 미국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있지만, 만약 전반적인 연방재정지출이 감소
미국 전력망 시스템에서 러시아 해킹단체의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러시아 해커들이 미국 민주당 이메일에 이어 전력망까지 침투한 것이다. 30일(현지시간) 미국 버몬트전력회사는 자사 노트북 중 한 개에서 러시아 해킹단체와 관련된 악성 코드를 감지했다고 미 정부 관리가 밝혔다. 이 코드는 러시아 해킹단체가 지난 7월 민주당 전국위원회 등을 해킹할 때 사용됐다.버몬트 주(州) 벌링턴 전력국은 노트북에서 발견된 악성코드가 전력계통망(grid system)에 연결되지는 않았다며, “문제가 된 노트북 시스템을 차단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연방 정부 관리들에게 경계를 발령했다”고 말했다. 러시아 해킹단체가 전력망에 침투한 의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해킹단체가 전력망을 교란하려고 실제 코드를 활용하지는 않았으나, 주요 설비인 전력망이 침투당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대단히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 28일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혐의 증거를 상세하게 밝혀 낸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이 미 정부 관계자 등 약 1000명의 인사에게 악성코드가 심겨진 이메일을 보내 사이버 공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