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같은 듯 미묘한 차이 ‘한민족 문화예술 감성용어 사전·용례집’

세계 각 지역에서 한민족이 생산한 문화예술 텍스트를 대상으로 삼아 그 텍스트에 반영된 개개 한민족 문화권의 사회문화적 감성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한민족 문화예술 감성용어 사전·용례집’으로 나왔다.

남한과 북한, 재일조선인, 재미한인, 조선족, 고려인 등 지구촌 곳곳의 한민족 공동체들의 문화예술 텍스트를 감성용어의 수준에서 검토했다. 한민족 고유의 감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주어진 사회문화적 조건에 따라 개개(지역별) 한민족 공동체들이 지니게 된 감성의 차이를 도출했다.

이 책은 북한체제가 문화예술을 도구로 인간의 감성·몸을 지배하는 양상을 드러내는 작업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동시에 북한문예의 감성용어를 검토하는 작업은 북한사람들의 취향과 감수성, 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감성차원에서 진행된 어떤 ‘해방’의 몸짓,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의지를 확인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감성, 문화예술의 견지에서 남북한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확인하는 작업으로서 가치가 있다. 남북의 문화적 소통과 정서적 유대를 회복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기도 하다.

미, 추, 숭고, 비극, 희극 등 잘 알려진 미적 범주들이 북한에서 정의되고 문예작품과 담론에서 통용되는 방식과 양상을 관찰해 정리했다. 이러한 작업은 ▲북한의 지배이데올로기가 감성 수준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확인하는 일이며 ▲감성 수준에서 남북한 문예의 차이와 공통점을 확인하는 작업의 기초인 동시에 ▲북한문예의 특수성을 규명하는 작업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