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친환경차(하이브리드·전기차)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싼타페와 쏘렌토 등 하이브리드 SUV(스포츠유틸리티차)가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얻은 덕분이다. 19일 한국자동차산업(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 1~5월 수출한 친환경차는 총 14만5781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10만691대) 대비 44.8% 증가했다. 현대차 8만1278대, 기아는 6만4503대를 수출하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5.5%와 43.8% 늘었다. 현대차·기아가 5월까지 수출한 하이브리드차는 8만109대로 지난해 동기(4만6888대) 대비 70.9% 증가했다. 이 가운데 SUV는 5만7804대로 3만532대를 수출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3% 늘었다. 니로 하이브리드는 지난해보다 0.7% 증가한 1만8658대를 수출했다. 코나 하이브리드는 1만3115대로 9.3% 증가했다. 새롭게 추가된 싼타페 하이브리드(8362대)와 투싼 하이브리드(8128대), 쏘렌토 하이브리드(9541대)도 선전했다. 여기에 아이오닉 하이브리드(1만2202대)와 아반떼 하이브리드(4239대), 쏘나타 하이브리드(5851대) 등 세단 모델이 수출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앞으로 일용근로자와 인적 용역 제공 사업자에 대한 소득 자료 제출 주기가 기존 분기·반기당 한 번에서 매달 한 번으로 바뀐다. 국세청은 전 국민 고용보험 확대에 발맞춰 오는 7월부터 이런 내용을 담은 실시간 소득 파악 제도를 시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국세청은 지난 3월 소득자료관리준비단을 출범한 이후 전국 7개 지방청, 130개 세무서에 소득자료관리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제도 집행을 준비해왔다. 이달부터 달라지는 내용을 보면 이달 이후 일용근로소득, 인적 용역 사업 소득을 지급하는 원천징수의무자는 소득 자료를 매달 제출해야 한다. 단, 플랫폼 종사자 관련 소득 자료(사업장 제공자 등의 과세 자료) 제출 주기(연 1회) 단축은 국회 논의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올해 2분기까지의 일용근로소득지급명세서와 상반기 간이지급명세서(사업소득, 근로소득)는 이전처럼 오는 8월2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소득 자료 제출 주기 단축으로 인한 원천징수의무자(사업자)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가산세는 깎아주기로 했다. 일용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경우 미제출 가산세와 지연 제출 가산세가 각각 기존 1%, 0.5%에서 0.25%, 0.125%로 인하된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19일부터 9월30일까지 동물 등록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자진신고 기간 이후인 오는 10월부터는 공원, 산책길 등의 장소를 중심으로 동물 등록 여부와 인식표·목줄 착용을 집중 단속하고 위반 시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자진신고 기간에 신규로 등록하거나 기존에 등록된 정보를 변경하면 미등록이나 변경 지연에 따른 과태료가 면제된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혜택도 있다. 앞서 대전광역시는 2300마리의 등록 비용을 선착순으로 지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도 등 일부 시·도에서는 동물 등록 수수료 면제 등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원 여부와 내용·대상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등록을 원하는 시·군·구청에 문의하면 된다. 동물 등록은 반려동물을 잃어버렸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하다. 실제로 지난 2019년 동물 등록 자진신고 기간에 33만여 마리가 새로 등록됐고 이를 통해 6년간 증가세를 보이던 유실·유기동물 수가 2020년 들어 감소세로 돌아선 바 있다. 올해 들어 6월까지의 유실·유기동물은 5만6697마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1% 오른 9160원으로 결정된 데 따른 후폭풍이 지속되고 있다. 노사 모두 원하는 결과를 받아들지 못하면서 각각 총파업과 이의제기 등을 예고한 가운데, 해마다 반복되는 최저임금 갈등을 줄이려면 최저임금 결정체계 자체를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다만 이를 둘러싼 노사의 이견이 워낙 큰 데다 이미 2019년께 한 차례 무산된 바 있어 동력을 얻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올해도 공익위원 주도" "산출근거 납득 못해"…제도개선 목소리 지난 12일 최저임금 심의·의결 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최임위) 제9차 전원회의에서 우여곡절 끝에 결정된 내년도 최저임금을 놓고 노사가 반발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올해도 어김없이 공익위원 주도로 최저임금이 결정됐다는 점, 최저임금 산출 근거가 객관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최임위는 근로자위원·사용자위원·공익위원 9명씩 27명으로 구성되는데, 정부의 추천을 받은 공익위원들은 노사 대립 구도에서 중재를 맡으며 일종의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왔다. 이번 심의에서도 노사가 최종 제시안인 1만원과 8850원 사이에서 접점을 좁히지 못하자 공익위원들은 단일안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현대차, LG그룹에 이어 올해 SK, 롯데그룹도 정기 공개 채용 폐지를 선언하는 등 대규모 공개 채용을 실시하던 대기업들이 잇따라 수시 채용을 도입하는 가운데 신입 구직자 10명 중 8명은 이로 인해 취업 부담감을 더 느낀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신입 구직자 755명을 대상으로 '수시 채용 확대에 따른 취업 부담'을 조사한 결과 79.2%가 '부담이 늘었다'고 밝혔다. 취업 부담이 늘어난 이유로는 '채용규모 자체가 줄어들 것 같아서'(61.2%·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언제 채용을 할지 몰라서'(40.3%), '중고 신입이나 경력이 유리할 것 같아서'(36.6%), '입사하고 싶은 기업이 채용 자체를 안 할 수 있어서'(23.7%), '각 기업별 채용 방식에 맞춰 준비를 해야해서'(23.7%), '공개 채용보다 정보가 적어서'(23.4%)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지난해 수시 채용과 공개 채용에 모두 지원한 구직자(204명)들의 경우 '수시 채용이 더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이 45.1%로 '공개 채용이 더 어렵다'고 답한 구직자(15.2%)의 세 배 가량이었다. 39.7%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네이버의 아시아 1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입점하고 있다. 네이버가 구축한 '기회의 땅' 메타버스에 자동차, 금융, 명품, 유통, 통신사,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M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의 마음을 잡기 위해 좌판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란 가공·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일컫는다. 현실과 단절되고 현실 그대로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과 현실이 상호 작용하는 공간이다. 최근 5G 상용화와 함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고 코로나19로 비대면 추세가 확산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19일 IT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자동차 업계 최초로 제페토에서 쏘나타 N 라인을 가상 시승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쏘나타를 메타버스에 노출해 잠재 고객인 MZ세대와 소통하는 동시에 차량의 하이테크 이미지를 강화하고 신기술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굳히기 위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글로벌 통신업계도 인정한 국내 이동통신 3사의 '농어촌 5G 공동이용' 협력 모델이 LG유플러스의 5G 주파수 대역 추가 할당 신청 논란으로 그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 18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3.4∼3.42㎓ 대역 20㎒폭을 추가로 신청했다. 이에 SK텔레콤과 KT는 특정 사업자만의 요구를 반영한 주파수 공급 자체가 '경쟁 없는 특혜'이자 '경매정책 왜곡'이라며 과기정통부에 반대 의견서를 제출했다. LG유플러스가 신청한 대역은 현재 LG유플러스가 사용중인 주파수 대역(3.42~3.5㎓)의 인접 대역이다. 이를 두고 경쟁사들은 사실상 LG유플러스만 추가 투자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특별한 대역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실상 경쟁 없는 수의계약으로 비교적 헐값에 추가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반면 LG유플러스는 10월 농어촌 5G 공동이용을 앞두고 5G 품질 개선 목적에서 5G 주파수 대역 추가 할당을 요청한 것이라며 '통신 소비자 후생'을 명분으로 앞세우고 있다. 지난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3사는 읍·면 등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하게 제공하기
▲상무이사 차병주 ▲상무 정대성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저축은행에 시중자금이 몰리고 있다. 초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자금이 저축은행에 쌓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최근 저축은행들이 하반기 대출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수신 규모를 늘리고자 수신 금리를 올린 것도 영향을 주고 있다. 1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국내 저축은행 수신잔액은 85조9344억원으로 전달(83조7121억원) 대비 2조2223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79조1764억원)과 비교하면 6조7580억원 가량 늘었다. 여기에 최근 저축은행들은 연 2% 넘는 금리를 주는 특판 예·적금을 앞다퉈 내놓거나 수신 금리를 인상하는 등 고객 유치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상상인저축은행은 최근 정기예금 금리를 종전 최고 연 1.70%에서 연 2.21%로 인상했다. OK저축은행도 기존에 연 1.5%였던 OK파킹대박통장의 최고금리를 연 2.0%로 올렸다. 웰컴저축은행도 이달 초 정기예금 최고금리를 기존 연 2.1%에서 연 2.3%로 인상한 데 이어 연 2.4%로 재차 올렸다. 저축은행들은 올 초까지만 해도 수익성 관리 차원에서 수신 금리를 낮추는 경향이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금융감독원장의 공석이 진행된 지 두 달이 지나면서 후임 인사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최근에는 하성근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가 후임으로 거론되고, 손상호 전 금융연구원장도 다시 하마평에 올랐다. 김근익 금감원 수석부원장도 여전히 유력 후보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장의 자리는 지난 5월 7일 윤석헌 전 금감원장의 퇴임 이후 계속 공석 상태다. 일수로 따지면 벌써 70일이 넘었다. 현재 김 수석부원장이 금감원장 대행을 맡고 있다. 그간 금감원장 후임의 후보로는 이상복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원승연 명지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손상호 전 금융연구원장, 박영석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 등이 거론됐다. 그러나 금감원 노조와 금융권에서 강하게 반대해 해당 후보군의 얘기는 사그라들었다. 교수 출신은 아무래도 정무 감각이 떨어지고 금융권과 소통도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일부 관료 출신도 후임자로 거론됐지만, 금감원장 재임 기간이 사실상 1년도 채 안 되고, 향후 취업제한 3년을 적용받기 때문에 오길 꺼리는 상황이다. 정부도 금감원장 공석과 관련해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전날 국회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에 라인플러스(네이버 계열), 그라운드X(카카오 계열), SK C&C(SK계열) 등 '3파전'으로 가닥이 잡힌 가운데 이르면 다음 모의실험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자화폐로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서 CBDC 도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미 미국과 중국은 디지털 화폐 도입 논의 상당히 진행된 상태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는 국제결제은행(BIS) 같은 국제기구들과 디지털 달러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중국 정부는 디지털 위안화를 위안화 국제결제시스템(CIPS)에 연동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한은 역시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CBDC 모의실험을 진행하고 오는 8월에 모의실험 연구사업에 착수해 올해 말 1단계 실험을 완료할 예정이다. 1~2단계를 합친 총 사업 기간은 올해 8월부터 내년 6월까지 10개월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6일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발행과 관련해 "아무리 빨라도 2~3년은 소요될 것이다. 현재로선 당장 발행 필요성은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암호화폐 거래소 계정을 해킹당해 자신의 자산이 모두 사라졌다며 이용자가 거래소 운영 법인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지만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7일 법원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민사25단독 박성인 부장판사는 A씨가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법인 두나무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A씨는 지난 2019년 6월18일 암호화폐 거래소에 로그인하려고 시도하며 5차례에 걸쳐 인증번호를 입력했다. 하지만 로그인에 성공하지 못했다. A씨는 같은 달 25일 계정을 확인했고 자산은 모두 출금된 상태였다. 조사결과 사건 당일 A씨의 IP주소가 아닌 다른 IP를 통해 누군가가 A씨 계정에 접속한 내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해커는 약 4분사이 여러 암호화폐를 모두 매도했고 약 4370만원 상당 특정 암호화폐를 매수해 출금했다. A씨는 "출금 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매도·매수·출금시 문자를 발송했다면 해킹사고를 막을 수 있었는데 로그인시 발송되는 인증번호로 출금이 가능하게 한 것은 고객 보호의무 위반"이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또 "암호화폐 매도가 완료됐지만 (같은 날 로그인했을 당시) 자산에 아무런 변동이 없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사흘째 1500~1600명 선을 유지하는 등 집단감염 사례가 속출하면서 금융권이 긴장하고 있다.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지난 12일 직원 8명이 확진된 데 이어 다음날 8명이 추가됐다. 확진자 중에는 부행장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SC제일은행 본점에서는 지난 15일까지 9명이 확진됐다. 두 은행 모두 보건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확진자가 근무한 층을 즉시 폐쇄하고 건물 전체에 대한 긴급 방역을 한 상태다. 한국거래소도 지난달 21일 서울 마포구 근무지에서 공시부 관련 직원 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거래소는 사내 확산 차단을 위해 서울과 부산에 백업 오피스를 설치한 바 있다. 분산근무와 재택근무를 병행한 3단계 분산근무 체제를 운영 중이다. 알게 모르게 곳곳에서 확진자가 나오면서 이제 어디에서도 안심할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증권업계는 최근 서울 여의도 일대에서 확진자가 늘어나자 사전 검진을 받는 등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 금융투자협회는 증권사·금융투자 회원사 직원들이 스스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공문을 보내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과장급 전보 ▲기반전력사업종합군수지원팀장 이희수
▲스포츠·산업부 국장 이석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