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시 공영주차장 비대면 자동결제 시스템 운영

9월부터 113곳에서 '지갑없는 주차장' 운영
코로나19 시대에 '비대면 결제시스템' 도입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서울 지역 공영주차장에서 하이패스처럼 주차요금을 자동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시작된다. 

 

주차요금 결제를 위해 정차할 필요도 교통카드를 꺼낼 필요도 없게 되는 것이다.

 

서울시는 9월부터 공영주차장 113곳에서 주차요금 언택트(비대면) 자동결제 시스템인 '지갑없는 주차장'을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갑없는 주차장은 기계나 사람 간의 불필요한 접촉을 없앤다. 

 

또 사전등록 '차량정보 및 결제카드'를 통해 신속하게 자동으로 차량번호가 인식되고 요금도 빠르게 자동 정산된다. 

 

이용 시민의 입·출차 대기시간을 크게 단축시켜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같은 바이러스 감염 확률도 낮출 것으로 보인다.

 

지갑없는 주차장의 자동결제를 위해서는 바로녹색결제 시스템에 차량번호와 결제카드 정보 사전 등록이 필요하다. 

 

차량번호와 결제수단을 미리 등록하면 곧바로 비대면·비접촉으로 주차요금이 자동결제 된다.

 

바로녹색결제에서 사전등록하면 공영주차장은 물론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도 자동으로 납부할 수 있다. 

 

시는 향후 사용처를 확대할 예정이다.

 

장애인과 국가유공자의 경우 할인을 위한 증빙서류를 일일이 제시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환승할인은 대중교통과의 환승데이터 확인을 위해 사전 정산기에서 미리 태그, 확인만 하면 된다.

 

 

시는 가입자 확보와 사업 안착을 위해 사전등록으로 지갑없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시민에게는 2021년 6월까지 주차요금을 10% 범위 내(정기권 3%·시간제 주차요금 10%)에서 감면 혜택을 준다.

 

정기권 우선 신청 부여 등 인센티브도 제공된다.

 

지갑없는 주차장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서울주차정보 앱'을 통해 시민에게 실시간 주차 정보로 제공된다. 

 

주차장 수요·공급 관리 등 맞춤형 주차정책에도 활용된다.

 

시는 향후 주차 가능 공간을 미리 확인하고 예약까지 마무리할 수 있는 미래 주차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지갑없는 주차장은 코로나19 감염 불안이 확산되는 시점에 기계나 사람 간의 불필요한 접촉을 없애고 자동결제를 통해 대기 없는 신속한 정산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