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국내 유일 경주 방폐장 건설 의미는?…사용후핵연료 처분도 발등의 불

지상에 드러난 2단계 처분시설에 환경단체 반발

국내 유일의 방사능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이 28일 준공했다.

지난 1978년 고리원전 1호기가 가동에 들어간후 37년만에 방폐장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 

28일 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자력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정부와 원자력업계는 1986년부터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해 부지 선정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실패해 19년간 9차례나 부지 유치에 실패했다.

그러다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의견을 수렴한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서 2005년 89.5%의 찬성으로 경주를 최종 부지로 선정하게 됐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경주 방폐장은 안전에 더욱 총력을 기했다.

경주방폐장은 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공간구조물로 대한지질학회, IAEA 등으로 부터 총 7차례의 안전성을 검증받았고 8건의 방폐장 건설 특허도 확보했다. 

문제는 그럼에도 가야할 길이 아직 많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

우선 종합설계중인 2단계 표층처분시설이 2019년까지 완공돼야 한다. 앞으로 경주 방폐장은 200리터 드럼 기준 총 80만 드럼을 처분할 계획이다. 

그러나 동굴처분방식으로 건설된 1단계와 달리 지상에 처분시설이 드러나는 2단계에 대해 환경단체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경주핵안전연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방폐장 내의 활성단층에 대해 지진, 지질, 지하수 등 각계 전문가들로 하여금 안전성을 진단케 해야 한다"며 "'2단계 표층처분 방폐장’에 대한 안전성 토론회를 실시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고준위 시설에 대한 방폐장 건설에 곧 착수해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원전에서 사용한 사용후핵연료는 각 원전내에서 습식저장, 건식저장 등 임시저장시설에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원전시설내 사용후핵연료가 저장용량대비 70%이상 채워진 상태라 저장을 조밀화하고 호기간 이송 등을 통해 포화 예상연도를 최대한 미뤄도 2028년 이후에는 포화상태에 접어들게 된다. 

고리원전은 2016년, 월성 2018년, 한빛 2019년, 한울 2021년, 신월성 2038년에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이 포화된다. 

이에따라 정부는 지난 6월 사용후핵연료공론화위원회가 공론화 권고보고서를 제출함에 따라 올 연말까지 기본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론화위원회는 보고서에서 늦어도 2051년부터는 영구 처분시설을 운영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오는 2020년까지는 부지선정을 끝내야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중저준위 방폐장 부지선정과 준공하는데만 30년이 소요됐다는 점을 감안할때 중저준위보다 안전성 논란이 큰 고준위 방폐장 부지 선정을 정부 계획대로 5년안에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