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정부, 베트남 등 FTA 체결 4개국 정보 수출업체에 제공

정부가 FTA를 활용한 농수산식품 수출산업화를 위해 올해안에 베트남 등 FTA 체결 4개국에 대한 수출동향 등을 수출기업에 제공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와 합동으로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촉진 지원을 위한 농수산식품 수출업계 간담회를 가졋다고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식품 FTA 수출활용도는 지난해 기준 24.4%, 수산식품의 경우 34.8%로 제조업 수출활용률 80.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농수산식품 수출에서 FTA 활용률이 낮은 것은 영세업체가 대부분인 업종 특성상 원산지 규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전문인력 수급에도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FTA 활용을 통한 농수산식품 업계의 수출산업화를 위해서는 농식품 특화 원산지관리시스템 등 농식품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정책과 농수산 수출업계의 FTA 활용의지도 필요하다고 보고 관계부처 합동 간담회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농식품부는 농식품 분야의 낮은 FTA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농식품 수출업체 대상으로 품목, 국가별 정보제공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위해 지난 3월부터 농관원과 관세청간 협업을 통해 추진중인 FTA 원산지 증빙절차 간소화에 대한 내용을 지속 홍보키로 했다. 

농식품부는 친환경·우수농산물인증제도(GAP) 등 정부 인증 농산물에 대해 원산지증빙에 필요한 5종의 기존 제반서류를 해당 농산물 인증서로 대체해 수출 건당 40시간, 50만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내달에는 무역협회와 협업해 김치·유자차·홍삼 등 품목별 원산지 인증방법과 절차를 담은 FTA 활용 매뉴얼을 제작, 수출업체에 배포하고 해당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세미나도 열 계획이다.

아울러 연내에 베트남·싱가폴·호주·캐나다 등 FTA 체결 4개국에 대해 FTA 관련 정책·협정세율과 함께 유통·소비동향, 경쟁국 농식품 동향 등을 심층 조사해 업계에 제공키로 했다.

해수부는 미국(63.7%), EU(78.2%)보다 FTA 활용률이 크게 낮은 아세안(0.7%)에서의 FTA 활용도를 끌어 올리는 한편, 주요시장으로 부상할 중국으로의 수출확대를 위해 '원산지 증빙 절차 간소화' 등 제도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정부의 대중국 수출지원 정책을 정비해 한-중 FTA 발효에 대응키로 했다.

이인호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한-중FTA 발효를 앞두고 농수산식품 수출업계내에서도 전략적 FTA 활용을 통한 수출증진 노력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며 "정부는 농수산식품의 중국 등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 및 내수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