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의 후폭풍이 거세다. '형제의 난'으로 시작된 경영권 분쟁이 역풍으로 '롯데=일본기업'이라는 '反롯데' 정서가 확산되고 있다.
기업 전반의 이미지 추락은 물론 대홍기획에 이은 롯데리아의 세무조사를 시작으로 정치권에서도 재벌 개혁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국정감사를 앞두고 여·야 모두 한목소리로 문제가 있는 재벌 총수들을 증인으로 채택하겠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반면, 재계는 신 회장이 국감에 출석해 그룹의 경영투명성 등을 상세히 밝힐 경우 이미지 반전의 기회를 마련할 수 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반롯데' 정서 및 국적 논란 해소에 안간힘
앞서 신동빈 회장은 경영권 분쟁 속에서도 "롯데는 한국기업"임을 강조하며, '반롯데' 정서 및 국적 논란 해소에 안간힘을 썼다.
신 회장은 머리를 숙여 국민들께 사과 하며 "한국 롯데그룹은 1972년부터 완공할 때까지 10억 달러라는 대규모 자금을 투자해 설립한 회사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민 여러분이 지적해 주신 문제점을 듣고, 개혁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롯데로 거듭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신 회장의 대국민 사과와 지배구조 개선 약속으로 경영권 분쟁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은 가라앉는 듯싶었지만, 일본의 피겨스케이팅 대표선수인 아사다마오를 후원한 사실이 밝혀져 다시 논란이 되며 국민들의 반감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금융소비자원(금소원)의 롯데카드 및 롯데백화점 등 롯데 전 계열사를 향한 '소비자 불매운동'을 시작으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개혁연대도 같은 날 롯데와 정부에 행동을 축구하는 입장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 700만 소상공인의 대표인 소상공인연합회도 '롯데 오너 일가의 탐욕스러운 경영 형태를 막기 위해 롯데마트와 롯데슈퍼에 대한 불매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겠다'고 참여를 선언하기도 했다.
◇정치권 압박…면세점 허가, 원점서 재검토
'반롯데 정서'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그룹 운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확산되는 '반롯데' 정서에 정부 및 정치권의 전방위적인 압박까지 받고 있다.
사업적으로는 정부가 올해 말로 허가가 끝나는 롯데면세점 소공점과 월드타워점에 대한 재허가를 백지상태로 검토키로 했다. 특히 정치권은 롯데 기업 구조상 우리나라에서 벌어들인 돈을 일본에 가져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을 하며 하반기에 있을 면세점 허가를 내주면 안된다고 주장한 것. 이에 따라 각각 연매출 2조원, 4800조원 규모의 면세점에 대한 재허가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국세청도 최근 롯데그룹 광고 계열사인 대홍기획에 이어 롯데리아까지 세무조사를 진행했다. 이 회사는 그룹 순환출자 구조에서 주요 고리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조사확대에 대한 가능성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의 계열사에서 대홍기획에 부당지원이나 일감몰아주기 등 실시했다는 정황이 드러날 경우 자칫 세무조사가 롯데그룹 전체로 번질 수도 있다.
국회에서는 여야가 한 목소리로 재벌 개혁을 강조하고 있다. 롯데그룹에서 발생한 경영권 다툼이 재발하지 않도록 순환출자 금지 등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부 의원들은 롯데 기업 구조상 우리나라에서 벌어들인 돈을 일본에 가져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을 하며 하반기에 있을 면세점 허가를 내주면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국정감사를 앞두고 영야 모두 한목소리로 문제가 있는 재벌 총수를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롯데가 경영권 분쟁'이 논란이 됐던 만큼 그룹 수장인 신 회장의 국감 출석이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18일 "이번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있는 재벌총수는 국감장에 서게 될 것"이라며 "기업도 사회적 책임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문제가 있는 기업은 그대로 방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도 "국감 증인 채택에 있어 성역은 없어야 한다"며 "롯데와 관련한 국감 증인 채택은 거의 확실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신 회장 국감…반전기회 될 수도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모든 칼날들이 롯데를 향하고 있는 만큼 좋은 상황은 아니지만, 최악의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상황이 워낙 안좋아 신 회장의 국감 증인 채택은 당연시 되고 있다"며 "다만 신 회장이 국감에서 '반롯데 정서'에 대한 해결방안 및 지배구조 개선, 경영투명성 방안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다면 반전의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그룹 관계자도 "최대한 빠르게 이번 사태를 수습하고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경영 정상화와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국가 경제에 보탬이 되는 것이 국민들에게 사죄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