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3일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의 이원집정부제 발언과 관련, "총선 전에 개헌을 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잘라 말했다.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확대간부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개헌을 하고 싶으면 정정당당하게 내년 총선 때 공약으로 제시할 일"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역사국정교과서 강행부터 박근혜 대통령의 총선개입 발언, 나아가 대구·경북지역을 친박세력으로 물갈이 하려는 그런 움직임들이 있었다"면서 "이어서 홍문종 의원의 발언까지 (흐름을 살펴)보면 내년 총선에서 국민들이 새누리당을 제대로 심판해주지 않으면 이 나라가 어떻게 될 지 모르겠다는 위기감이 든다"고 말했다.
문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앞서 홍 의원이 지난 12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5년 단임제 대통령제도는 이미 죽은 제도가 된 것 아니냐"며 20대 총선이후에 개헌에 관한 논의를 해야한다고 주장한데 따른 것이다.
문 대표는 '박근혜 정부 임기 내에 개헌논의가 돼야한다는 것에 동의 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번 홍 의원의 개헌(발언)은 (그동안의) 맥락을 벗어나서 조금 순수하지 못한 의도가 있는 것이라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개헌은 지난 번 대선 때부터 이야기가 돼 왔었다. 그러나 그 때 논의됐던 개헌 논의들은 4년 중임제에 대한 개헌,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꾸기 위한) 개헌,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개헌 등 87년 체제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개헌들을 이야기했던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문 대표는 당내 비주류 진영에서 통합전대 개최와 조기선대위 출범 등의 요구를 쏟아내고 있는 것과 관련, "그렇게 한 분 한 분의 발언에 대해 따로 떼어내서 일일이 대응할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는 선거구획정 추가 협상과 관련해서는 "우선은 새누리당이 무엇인가가 협상할 수 있는 자세와 권한을 가지고 와야한다. 아무런 것도 없이 논의했다가 갔다 오면 달라지고 해서는 무슨 협상이 되겠느냐"며 새누리당의 명확한 입장을 에둘러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