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대국민담화를 직접 발표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구원 투수'로 나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황교안 국무총리가 4일에도 국정화 당위성을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황 총리가 '국정화 정국'을 돌파하기위해 총대를 직접 메고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황 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미래한국 리포트 발표회'에서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지난 70년 동안 수많은 도전과 시련을 극복하고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발전을 함께 이룩했다"며 "성공의 역사는 계승하고 부족했던 과거는 보완해 미래를 향한 새로운 도약을 이뤄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후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 글로벌 인재포럼 2015' 개회식에도 참석, 축사를 통해 "6·25전쟁으로 온 나라가 폐허가 됐던 대한민국은 변변한 부존자원도, 자본도 없었다"며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원동력 가운데 하나는 바로 교육을 통한 인재육성이었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의 발언은 역사 교과서 문제가 미래세대의 올바른 가치관과 국가 정체성에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양보할 수 없다는 정부·여당의 인식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다. 국정 역사교과서는 미래세대의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역사관 확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국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황 총리는 그러면서 연일 '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민생·경제' 이슈를 앞세워 국정화 논란을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수출이 급락하는 등 경제환경이 불안한 상황에서도 야당이 국정화를 빌미로 법안처리를 보이콧 하고 있는 것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미래한국 리포트 발표회' 축사에서도 황 총리는 "정부는 무엇보다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그리고 서민생활의 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공공개혁과 금융개혁, 교육개혁과 노동개혁 등 4대 분야를 집중적으로 개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치권 일각에서는 황 총리가 법무부 장관 시절 옛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 사건을 주도하고 총리 취임 이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현장에 뛰어드는 등 정부가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전면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황 총리가 박 대통령의 신임을 바탕으로 정부의 '구원 투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시각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황 총리에 대한 대통령의 신뢰는 모두가 알고 있다"며 "주무 장관을 대신해 총리가 직접 대국민담화를 발표한 것만으로도 황 총리가 역사 교과서 문제 해결을 위해 전면에 나섰다고 볼 수 있고, 이는 대통령의 재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은 외교와 안보, 글로벌 이슈 등에 전념하고 총리가 국정 현안과 경제, 민생을 챙기는 모양새"라며 "그래도 정국이 돌파되지 않는다면 대통령이 직접 이 문제를 다시 언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