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전공의 단체가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의정갈등 장기화로 불편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이들 단체는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공백 등 향후 재발방지를 위해 공감대를 형성하며 정기적인 대화의 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날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전공의 4명은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 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된 데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사과드린다"며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업무 개시 명령을 포함한 불법적인 명령, 과도한 규제와 억압으로는 의정 갈등을 해결할 수 없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중증 핵심 의료의 재건과 지역 의료 불균형 문제에 대해 젊은 의사들도 공감하고 있다"며 "앞으로 필요한 건 회복된 신뢰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미래 의료를 재건하는 것이며 오늘이 환자와 의사 간의 유대를 다시 회복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환자단체는 의료공백 장기화 속 전공의 복귀 소식이 다행스럽다면서도 조건 없는 자발적인 복귀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안기종 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집단사직의 방식으로 의료 현장을 한꺼번에 떠나 집단행동을 1년 6개월째 이어온 점에 대해 전공의들의 반성이 있어야 한다"며 "다시는 환자의 생명을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공의 복귀는 1년 6개월 전 자발적으로 사직했을 때처럼 조건 없는 자발적인 복귀여야 한다"며 "최소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과 같은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의 공백은 발생하지 않도록 입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모두발언 이후 이뤄진 비공개 대화에서는 의료공백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정정일 대전협 비대위 대변인은 "국민, 정부와 마찬가지로 대전협도 이러한 사태가 재발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다만 작년처럼 규제와 압박으로 원하는 바를 이끌어내기 위해 힘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도망가게 만들 뿐"이라고 말했다.
향후 집단 사직과 같은 집단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관련해서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이날 양측 단체가 대면해 대화를 나눈 것은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 1년 6개월 만이다. 오는 8~9월 중 전공의 수련 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화를 나누기 위해 추가적인 자리를 마련하고 향후 정기적으로 대화를 나눈다는 계획이다.
안 대표는 "오늘 국민들에게 일부 의료인의 잘못된 행태에 대해 사과했다는 것 자체에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면서 "조건 없는 복귀가 이뤄지고 난 후 전공의 수련 등과 관련해 논의하는 절차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