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중대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발한 '스마트 안전장구'의 사용성을 향상하고, 산업안전 솔루션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에 본격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 안전장구는 LG유플러스가 현대엘리베이터와 지난해 1월부터 공동 개발한 솔루션으로, IoT 센서 3종(안전모·안전고리·안전벨트)과 비콘 센서, 작업자 전용 앱, 관제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10월 자사의 설치 근로자 전원에게 안전장구를 보급, 근로자가 고소(高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약 3개월 동안 스마트 안전장구를 직접 착용하고 설치 작업을 해 온 현대엘리베이터 근로자들의 생생한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스마트 안전장구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다. 먼저 LG유플러스는 안전벨트 센서에 작업모드(고소/일반)를 변경할 수 있는 버튼과 이를 확인할 수 있는 LED 화면을 추가해 편의성을 더했다. 이는 장갑을 끼고 설치작업을 하던 중 전용앱을 실행해 작업모드를 바꾸기가 번거롭다는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또한 얼굴형에 따라 안전모의 착용감이 이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국내 최대 디지털 콘텐츠 전문 투자배급사인 KT알파(대표 정기호, 종목코드 036030)가 LG전자 스마트TV에 탑재된 LG채널에 인기 중국드라마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FAST 채널을 론칭했다고 7일 밝혔다. KT알파는 이를 발판으로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FAST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채널은 광고 기반의 무료 스트리밍 TV서비스로, 별도의 가입과 구독료 없이 장르와 취향에 맞는 실시간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FAST 시장은 코로나 엔데믹 이후 OTT 성장세 둔화를 기회로 차세대 미디어 플랫폼으로 부각, 최대 TV 시장이자 스마트TV 보급 성장률이 가장 높은 북미 중심으로 성장을 거듭해 나가고 있다. FAST 시장은 2020년부터 5년 간 약 5배 성장했고, 2025년까지 6조원 대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LG전자의 ‘LG채널’, 삼성전자의 ‘삼성TV플러스’가 FAST 플랫폼으로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LG 채널을 이용할 수 있는 국가는 현재 29개국까지 확대됐고, 국가별로 제공되는 무료 채널 수도 약 2,900개로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이동통신 3사는 마케팅 메시지에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적용해 발송할 수 있는 ‘RCS 이미지 템플릿’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RCS 이미지 템플릿’은 이미지&타이틀 강조형, 이미지 강조형, 썸네일형(가로), 썸네일형(세로), SNS형, SNS형(중간버튼) 총 6가지 메시지 유형을 지원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나 소상공인은 마케팅 대상이나 내용에 맞춰서 메시지 유형을 선택 할 수 있다. 특히 멀티문자메시지(MMS)보다 비용이 34% 낮게 제공돼, 메시지를 통한 마케팅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일반 문자메시지보다 높은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이동통신 3사가 지난해 10~11월간 발송된 400만건의 RCS를 활용한 마케팅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일반 문자 대비 약 1.71배 가량 마케팅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CS 이미지 템플릿’ 메시지는 발송 전에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는 RCS비즈센터에서 검수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스팸 메시지 발송에 따른 고객 불편과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통신 3사는 이달부터 5월까지 4개월 동안 ‘RCS 이미지 템플릿’ 프로모션을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기존 우주패스 가입고객이 상품별로 990원을 내면 1만 2천원 상당의 ‘요기요’ 쿠폰과 ‘폴 바셋’ 30% 할인을 제공받는 ‘우주패스 플러스 구독’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우주패스 고객이라면 주요 배달앱인 ‘요기요’ 쿠폰과 유명 커피 브랜드 ‘폴 바셋’ 등 인기 상품의 이용 부담을 낮출 수 있어, 우주패스의 활용도와 만족감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패스 플러스 구독’은 ‘요기요 4900’과 ‘폴 바셋 4900’ 두 가지로 구성되며, 향후 ‘플러스 구독’ 상품은 꾸준히 추가될 계획이다. ‘요기요 4900’은 1만 5천 원 이상 주문할 때 사용할 수 있는 3천 원 쿠폰 3장과, 1만 원 이상 주문 시 사용할 수 있는 1천원 쿠폰 3장을 포함해 총 1만 2천원 가치의 쿠폰팩을 제공한다. ‘폴 바셋 4900’은 커피체인점 ‘폴 바셋’에서 30% 할인을 받는 혜택으로 일1회, 최대 9천 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으며, 월 최대 할인액은 3만 원이다. 기존에 ‘우주패스 all/life/mini/slim/standard/핫픽’ 가입 고객이라면, 각각 월 990원에 ‘우주패스 플러스 구독’ 상품을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자사의 대표 캐릭터인 ‘무너’를 소개하기 위해 일러스트 작가와 협업해 제작한 디지털 굿즈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디지털 굿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PC, SNS메신저 등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일러스트다. LG유플러스는 MZ세대 고객을 대상으로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자 다양한 일러스트 작가들과 무너를 활용한 디지털 굿즈를 제작하고 있다. 현재까지 제작한 디지털 굿즈는 총 52종이며, 3만8000건 이상의 누적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프로모션 기간 무너 팬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접속한 고객은 누구나 원하는 디지털 굿즈를 내려 받을 수 있다. 팬 커뮤니티 고객은 횟수 및 종류에 제한없이 디지털 굿즈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LG유플러스 고객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사를 이용 중인 고객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지난해 3월 오픈한 무너 팬 커뮤니티는 현재 23만5000여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디지털 굿즈를 내려받을 수 있는 ‘별다꾸(별걸다꾸미기)’ 카테고리 외에도 ▲무너의 일상을 웹툰 형식으로 감상할 수 있는 ‘무너툰’ ▲무너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기자] LG유플러스는 디도스(DDoS)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전사 위기관리TF를 가동하고, 신속한 서비스 복구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는 공격에 대한 방어체계를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디도스 공격에 따른 고객불편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CEO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부문장/CTO/CRO(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 등 주요 경영진이 참여하는 위기대응 상황실을 구성했다. 본사인 용산사옥에 구축한 전사 위기대응 상황실에서는 CEO가 마곡, 안양 등 전국 주요 통신국사를 총괄 지휘하면서 실시간으로 각 현장 조직을 통해 고객불편 관련 현안과 기술적 조치 등 대응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디도스 공격 등 유사시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비상 대응 체계를 갖췄다. 상암·마곡사옥에는 200여명의 네트워크부문 관제 및 운용, 정보보호 인력이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디도스 공격이 발생할 경우 공격 차단 및 트래픽 우회 등 대응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지난 4일 디도스로 추정되는 대용량트래픽이 16시57분~17시40분, 18시7분~18시23분에 발생됐다고 밝혔다. 지역에 따라 서비스 장애가 있었으나, 순차 복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SK텔레콤이 도심항공교통(UAM)을 활용해 부산엑스포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유치 후에는 UAM을 활용한 넷 제로(Net Zero) 엑스포 실현에 나서기로 했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티맵모빌리티는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와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한 UAM 사업 협력 업무 협약(MoU)을 6일 체결했다. SKT 등 4社는 국제박람회기구(BIE)의 한국 현지실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등 국내외 행사에서 UAM 사업을 통해 기술을 활용한 환경 및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부산엑스포의 비전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구체적인 협력 내용으로는 올해 4월로 예정된 국제박람회기구의 한국 현지실사 기간동안 UAM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UAM을 통해 국제박람회기구 관계자들에게 한국의 ICT 기술과 혁신 모빌리티 기술을 소개하여,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로의 항해’라는 부산엑스포 주제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낸다는 전략이다. 또한 5월 부산에서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부산엑스포 유치 홍보를 위해 마련되는 엑스포 특별관에 UAM을 체험할 수 있는 기술 및 서비스를 전시하기로 했다. 해외 각국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삼성전자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S23의 사전 예약가입을 오는 7일부터 13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한다. 사전예약 가입은 공식 온라인 스토어인 유플러스닷컴 홈페이지와 LG유플러스 갤럭시 S23 캠페인 페이지에서 7일 0시부터, 전국 LG유플러스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오전 10시부터 가능하다. 사전예약 기간 가입한 고객의 단말은 14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통되며 일반 고객은 17일부터 단말기 구매 및 서비스 개통을 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갤럭시 S23 사전예약 고객을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실시한다. 우선 갤럭시 S23 캠페인 페이지에서 사전예약하고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인천 파라다이스시티 숙박권(5명) ▲갤럭시 버즈2 프로(10명) ▲삼성 정품 고속 충전기(400명) 등을 선물하는 ‘WHY NOT 유플 WEEK With Galaxy S23’ 이벤트를 진행한다. 삼성전자 혜택으로 출고가 115만5000원의 갤럭시 S23 256GB를 구매하면 출고가 127만6000원의 갤럭시 S23 512GB로 무료 업그레이드해준다. 갤럭시 S23+와 갤럭시 S23 Ultra 모델도 동일한 혜택을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7일부터 13일까지 갤럭시S23의 사전예약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예약고객의 개통은 14일, 공식 출시는 17일이다. SKT는 삼성전자와 함께 제공하는 기본 혜택으로 사전예약을 통해 갤럭시S23/S23+/S23 울트라를 구매할 경우 256G를 512G로 무상 업그레이드 해준다. 이 혜택은 SKT가 스타벅스, BMW 코리아와 함께 선보이는 한정판 스페셜 에디션 제품에도 적용된다. SKT는 이번 갤럭시S23의 사전예약 및 구매고객 대상으로 역대급 혜택을 제공하는 ‘KISS23’ 캠페인을 통해 ▲호텔VVIP 패키지 등 스페셜 체험 혜택을 제공하는 ‘KISS to Galaxy’ 프로모션 ▲1년치 통신요금 혜택 또는 삼성전자 ‘갤럭시북3 360’을 증정하는 ‘SKT x 갤럭시S 찐친 페스티벌’ ▲T다이렉트샵의 다이렉트 플랜 첫달 무료 프로모션 ▲T우주 신규 구독상품 3개월 무료제공 및 T day, T deal 혜택 등 색다른 혜택과 즐길 거리를 준비했다. SKT는 갤럭시S23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다양한 페르소나를 고려, 특별한 체험 혜택과 경품을 증정하는 ‘KISS to Galaxy’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KT(대표이사 구현모)는 7일부터 13일까지 7일간 전국 KT 매장 및 공식 온라인몰 KT Shop에서 삼성전자 ‘갤럭시 S23 시리즈’ 사전예약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사전예약 개통은 14일부터이며 공식 출시는 17일이다. 갤럭시 S23 시리즈는 ‘팬텀 블랙’, ‘크림’, ‘그린’, ‘라벤더’ 4가지 색상으로 구성되며 용량은 256GB, 512GB 두 가지로 출시된다. 가격은 △S23 256GB는 115만5000원(VAT포함), 512GB가 127만6000원(VAT포함), △S23+ 256GB는 135만3000원(VAT포함), 512GB가 147만4000원(VAT포함), △S23 Ultra 256GB는 159만9400원(VAT포함), 512GB가 172만400원(VAT포함)이다. ‘갤럭시 S23 시리즈’ 사전예약 구매 고객에게는 △512GB 단말을 256GB 단말 가격에 제공하는 ‘Double Storage’ 혜택과 함께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무상 증정’ 또는 ‘버즈2프로(화이트)+버즈 케이스 랜덤 1종을 9만9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을 선택 제공한다. ‘삼성초이스’ 요금제에 가입하면 버즈2프로(화이트)를 무료로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DX전문기업 LG CNS가 고객경험 혁신을 위해 ‘통합 IT서비스센터’를 열었다. 서울 증미역 NH서울타워에 위치한 ‘통합 IT서비스센터’에는 LG CNS와 전략 협력사의 시스템관리(SM, System Management), 시스템통합(SI, System Integration) 전문가 약 1,800명이 입주한다. 기존에는 이들이 고객·기능별로 전국 각지에 흩어져서 업무를 했다면, 이제는 한 공간에서 시너지를 내며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디지털전환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원격으로 IT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LG CNS의 DX 전문가들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민첩하고, 안정적으로 대응하며 고객에게 높은 수준의 I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통합 IT서비스센터’는 LG CNS DX 전문가들이 고객경험 혁신을 추진하는 DX 허브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는 현신균 대표가 연초 신년사를 통해 밝힌 ‘업의 중심인 SM, SI 등에서도 고객가치 중심 문화를 정착하고, DX기술을 활용한 IT서비스 사업을 강화하겠다’는 메시지와 궤를 같이한다. 이를 위해 LG CNS는 이상징후 사전 대응 강화를 위한 ‘통합 모니터링 체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KT(대표이사 구현모)가 서울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관내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청소년 AI 인재양성 협력에 나선다. KT는 5일 서울 지역 인공지능 고등학교에 △AICE(AI Certificate for Everyone) 도입 △고교학점제 운영 협력 △교원 대상 AI역량 강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미래형 직업교육 체제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분야 전문 기술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020년부터 서울디지텍고, 선린인터넷고 등을 인공지능고등학교로 선정해 지원 중이다. 현재 미림여자정보과학고, 서울로봇고와 같은 마이스터고를 비롯해 총 10곳의 인공지능 고등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각 학교들은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인공지능컴퓨팅과, 첨단로봇제어과 등 각자 특성화 분야 전문학과를 개설해 기술 인재를 양성한다. 앞서 KT는 지난해 광운인공지능고와 함께 실무형 AI 교육과정을 운영한 바 있다. 인공지능학과 교사들이 KT가 개발한 AI 교육 콘텐츠를 활용해 재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운영했고, 이후 인공지능 활용능력 자격시험 AICE Basic(베이직)을 통해 실무 역량을 검정했다. 학생 중 90%가 시험에 합
[파이낸셜데일리 정경춘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와 국내 대표 스마트 공장 및 자동화 솔루션 기업 LS일렉트릭(회장 구자균)이 중소·중견기업 대상 스마트 제조혁신 사업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양사는 지난 2일 LS용산타워에서 스마트팩토리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행사는 LG유플러스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 LS일렉트릭 권봉현 자동화 CIC(사내독립기업) COO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업무협약은 LS일렉트릭의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테크 스퀘어(Tech Square)'와 LG유플러스의 솔루션을 결합해 중소·중견기업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양질의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취지로 추진됐다. 국내 수많은 중소·중견기업이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자사 공장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 및 공급사를 찾고 스마트팩토리를 설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양사는 각 공장의 특징과 니즈에 부합하는 스마트팩토리 로드맵 수립을 지원하고, 합리적인 비용의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시장 내 영향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목표다. LS일렉트릭 테크 스퀘어는 수요자와 공급자는 물론 산학 전문가 등 누구나 자유롭게 플랫폼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는 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2022년 연간 영업수익(매출) 13조 9060억원, 서비스수익 11조 4106억원, 영업이익 1조 813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영업수익은 2021년에 비해 0.4% 늘었으며 영업수익에서 단말 수익을 제외한 서비스수익은 3.1% 상승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유무선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에 힘 입어 전년 대비 10.4% 증가했다. 2022년 4분기 기준 영업수익은 3조 610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유사한 수준으로 집계됐으며 서비스수익은 2조 9458억원으로 4.2%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1.1% 증가한 2866억원이다. 연간 기준 마케팅 비용은 전년 대비 0.4% 감소한 2조 2766억원으로 안정화 기조를 이어갔으며 서비스 수익 대비 마케팅 비용 비중은 21.6%로 전년 대비 0.8%p 감소했다. CAPEX는 2021년에 비해 3.2% 증가한 2조 4204억원을 집행했다. ■ 모바일 가입자 10.6% ↑… 5G 보급률 및 MNO 해지율 등 질적 지표 개선도 지속 연간 기준 모바일 수익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6조 1832억원을 달성했다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점심구독 서비스 ‘위잇딜라이트’ 운영사 위허들링(대표 배상기)은 2022년 매출은 45억을 기록한 전년 대비 230% 성장한 104억 매출을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2022년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평균 성장률인 20%의 11배 이상이다. 또한, 위잇딜라이트의 누적 고객수는 2023년 2월 현재 9만 명을 달성했다. 이는 2022년 초 21,524명 대비 4.2배 증가한 성과다. 특히 단순 고객 획득의 증가로 끝나지 않고, 신규 고객의 60% 이상이 Referral(기존 고객들의 추천) 유입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유료 구독 전환율은 55% 이상에 달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국내 e커머스 평균 신규 고객의 구매전환율 1.33%에 40배가 훨씬 넘는 비율이다. 위잇딜라이트는 2022년 물류 내재화에도 큰 투자를 단행했다. 1,200평 규모의 자동화 시스템 냉장/냉동 센터를 갖춘 용인 물류 센터를 5월 오픈해 늘어나는 수요를 원활하게 운영했다. 2023년 서비스 오픈 4년 차를 맞는 위잇딜라이트는 고객들의 뜨거운 사랑과 관심을 위해 위잇딜라이트만의 지속적인 좋은 서비스로 거듭나기 위해 많은 노력과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