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패총은 삼한시대 가야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게 하는 한국 최초의 유적 발굴지다. 로마 근교의 몬테 테스타치오는 고대 로마의 수백년 역사가 쌓여 있는 고고학자들의 성지다.
이처럼 역사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고, 과거의 관습에 관해 귀중한 증거를 밝혀내게 만드는 유적, 그것의 또 다른 이름은 '쓰레기'다.
현대 사회에서 쓰레기라는 단어는 더럽고 비위생적이고, 그래서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겨서 처리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간이 쓰고 난 것들이 거주지에서 격리된 것은 인간의 역사에서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오랜 동안 인간은 자연에서 취한 것을 되도록 오래 쓰고 최대한 활용했으며, 그러고도 남는 것은 자연으로 돌려보냈다.
너무 많은 쓰레기, 자연으로 되돌릴 수 없는 쓰레기가 발생하고부터는 그것을 누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가 사회의 최대 골칫거리가 되었다. 결국, 어떤 쓰레기가 얼마나 나오고 누가 어떻게 처리하는가는 인간이 어떤 문명을 살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척도다.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인간이 버리고, 줍고, 묻어온 것들의 역사'는 쓰레기를 만들어내고, 활용하고, 싸워온 인간의 역사를 담고 있다.
저자 카트린 드 실기는 프랑스의 쓰레기 전문가다. 그는 누가 어떻게 쓰레기를 처리할 것인가를 권력과 돈, 학문이 격돌한 장으로 묘사한다. 인간이 만들어내던 쓰레기는 대부분 유기성 쓰레기로 돼지 등 가축을 먹이고 발효시켜 퇴비로 쓸 수 있는 소중한 자원이었다. 사람과 말의 배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도시의 진흙탕은 시골의 밭을 비옥하게 해주는 보물이기도 했다.
문제는 양이었다. 도시가 형성된 이래 거의 1000년 동안 유럽의 도시는 창밖으로 아무렇지도 않게 내던지는 오물로 인해 이루 말할 수 없이 더러웠다. 거리를 걷던 귀족들이 쓰레기와 배설물에 얻어맞는 일은 중세 초기에서 에밀 졸라가 소설을 집필하던 19세기까지 계속 되었다. 쓰레기로부터 도시를 구하기 위해 프랑스를 비롯해 유럽의 위정자들은 갖은 방법을 동원했다.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말도록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를 구했고, 왕명과 칙령을 동원해 쓰레기통 사용을 의무화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도시가 오물로 넘쳐나자 죄수와 장애인, 극빈자와 노인 등을 거리 청소에 동원했다.
하지만 현재 쓰레기 수거와 재활용, 폐기는 막대한 이권이 개입하는 거대한 산업이다. 주로 쓰레기를 어떻게 폐기할 것인가를 두고 돈이 오간다. 가정에서 배출하는 쓰레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돈을 주고 구입해야 하는 종량제 봉투가 쓰이고 있으며, 빈 병에 대한 보증금 제도는 독일에서처럼 외국 양조업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해 숨어 있는 통상 장벽 노릇을 한다. '오염자 부담' 원칙에 의해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는 막대한 돈이 들기 때문에 불법 쓰레기 폐기는 '환경 마피아'들의 좋은 돈벌이 수단이기도 하다.
인간과 쓰레기는 이처럼 때로는 투쟁하고 때로는 활용하며 공생해왔다. 이런 인간과 쓰레기의 공생 연대기를 풀어가는 이 책의 전반부는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 흥미진진하다. 회피와 경멸의 대상이었던 쓰레기는 어떤 이들의 생계수단이었고, 오늘날에는 거대한 산업이 됐다.
현대 사회의 쓰레기는 점점 더 커져가는 골칫거리다.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점점 줄어들고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에너지와 돈은 늘고 있다. 결국 해결책은 쓰레기를 덜 만드는 것밖에 없다. 저자는 쓰레기 전문가로서 지구가 쓰레기에 뒤덮이지 않기 위한 전략과 처리 방법의 혁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그러나 저자 드실기는 쓰레기와 함께한 인류의 역사를 살피면서 쓰레기가 단순히 악이 아니라 유용한 자원이자 유머와 흥취로 가득한 보물덩어리이기도 했음을 잘 보여준다. 드실기가 안내하는 쓰레기의 역사를 따라가다 보면 인간이 쓰레기와 평화롭게 지낼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은진·조은미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