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 실적이 글로벌 경기 회복과 대형 국책사업 연계 유치 등에 힘입어 크게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신고액은 131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1.5% 증가했다. 도착 기준으로는 57.3% 증가한 78억4000만 달러다.
이는 상반기 최고 실적을 달성한 2018년에 이어 신고·도착 기준 모두 상반기 역대 2위 실적이다. 최근 10년간 신고액과 도착액 평균은 각각 93억1000만 달러, 64억3000만 달러다.
산업부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 성공적 방역 등을 토대로 한 경제 펀더멘탈에 대한 신뢰 상승, K-뉴딜·소부장 등 대형 국책사업 연계유치 등이 역대급 외투실적 달성에 복합적으로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유형별로 보면 1분기는 인수·합병(M&A) 중심으로 회복됐다면, 2분기는 그린필드 외투도 59억 달러로 반등한 것이 특징이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아직 M&A형이 실적을 주도하고 있지만, 그린필드형도 크게 상승해 균형을 이루는 모양새다.
분야별로는 플랫폼 사업 등 서비스 분야 외투가 103억7000만 달러로 95% 급증했다. 제조업 분야도 소부장·자동차 외투 증가 등으로 1분기 대비 2분기가 3배 이상 늘어 감소폭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FDI 주요 특징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디지털 수요 등이 확대돼 디지털 뉴딜 관련 투자가 증가했다는 점이다.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등 친환경·저탄소 사회를 위한 그린 뉴딜 투자도 늘고 있다.
디지털 뉴딜 분야는 전자상거래, 온라인 플랫폼 등을 중심으로, 그린 뉴딜 분야는 해상풍력·태양광 발전 단지 개발 사업 등을 중심으로 유입돼 K-뉴딜 투자액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늘었다.
주요 사례를 보면 미국 A사가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의 물류시스템 고도화에 3억5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스페인 B사는 글로벌 에너지기업의 인천해상풍력단지 조성에 1억 달러를, 스페인 C사는 전남 고흥 태양광 발전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에 1억 달러를 투자했다.
전체 K-뉴딜 관련된 올해 상반기 FDI 신고액은 39억4000만 달러로 163.4% 늘어났다.
첨단기술, ICT 기반 서비스, 콘텐츠 등 신산업과 전통산업 외투 모두 급증했다.
첨단제조, 플랫폼, K-콘텐츠 등 부가가치와 기술집약도가 높은 신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신고·도착 기준 모두 증가했다. 이 신산업과 관련된 올해 상반기 FDI 신고액은 52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7.8% 늘었다.
전통산업의 경우, 화공, 기계장비, 금융·보험 등에 대한 투자를 중심으로 신고·도착기준 모두 증가했다. 전통산업과 관련된 올해 상반기 FDI 신고액은 78억9000만 달러로 104.8% 증가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신고 기준으로 전년 대비 20.3% 증가한 21억1000만 달러다. 도착 기준으로는 48.9% 늘어난 8억1000만 달러다. 유럽연합(EU, 영국 포함)의 투자액은 신고 기준 394% 증가한 64억4000만 달러다. 도착 기준으로는 252.6% 늘어난 41억9000만 달러다.
일본은 신고 기준으로 1.4% 증가한 4억6000만 달러, 도착 기준으로 19.6% 줄어든 3억3000만 달러다. 중화권은 신고 기준으로 1.7% 증가한 28억2000만 달러, 도착 기준으로 33.1% 감소한 11억3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부문별로는 제조업 투자액은 신고 기준 20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7% 감소했다. 서비스업 투자액은 신고 기준으로 전년 대비 95% 증가한 103억7000만 달러다.
그린필드형 투자는 신고 기준으로 전년 대비 37.6% 증가한 75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M&A형 투자는 157.7% 증가한 55억7000만 달러다.
한편 정부는 앞서 발표한 '첨단 외국인투자유치 전략'에서 선정된 품목·기업 대상 IR 강화 및 제도 개선 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먼저 K-뉴딜, 신산업, 소부장 등 정책과 연계해 외국자본·기술이 필요한 첨단분야에 대한 유치 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백신 및 원부자재에 대한 유치 노력도 강화한다.
또한 9월 중순부터 시행 예정인 '첨단투자지구' 관련 하위법령을 정비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인센티브를 확충해 외투환경 개선으로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논의 중인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투자세액공제를 확대하면 이를 외투 유치 확대 수단으로도 활용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2021년에는 글로벌 FDI가 20~15% 소폭 회복할 것"이라며 "국내 FDI는 올해 하반기에도 회복세가 지속돼 연간기준 플러스 전환이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