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일본 등 3개국의 유통·제조 업체 간 상생평가에서 한국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세계적인 유통·제조업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어드벤티지 인터내셔널의 한국 자회사인 어드벤티지 코리아(대표 정종주)는 지난해 국내 제조·유통회사의 상생평가 점수를 조사해 14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일본과 중국은 각 37점, 한국은 26점으로 평가됐다. 유통회사가 받은 점수는 일본이 21점, 중국이 15점, 한국은 12점이었다.
다만 국내 유통 회사는 2014년 6점에서 지난해는 12점으로 올랐다. 업체 측은 유통회사는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에 민감해 중국, 일본과 점수 차이를 줄이고 있다고 풀이했다.
어드벤티지 인터내셔널은 1988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유통회사와 제조회사가 성공적인 비즈니스 관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로 설립됐다.
제조회사는 유통회사를 비즈니스관계, 인원평가 등 5개 분야에 대해, 유통회사는 제조회사를 소비자마케팅, 물류, 서비스 등 7개 분야에 대해 서로를 평가한다.
한편 이번 조사에 참여한 국내 유통 회사는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GS 슈퍼마켓·롯데슈퍼·홈플러스 익스프레스·GS 25·미니 스톱·올리브영·GS 왓슨스·롭스·분스 등이다.
정종주 어드벤티지 코리아 대표는 "제조회사와 유통회사 간 동반성장을 위해서 정보공유, 약속이행, 물류협조 등 많은 부분을 협력해야 한다"며 "정부에서는 가격만을 근거로 동반성장을 측정하기에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격은 풍선 효과와 같아 제조회사, 유통회사, 소비자 중 한쪽이 이득을 보면 다른 한쪽은 손해를 보게 된다"며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도 전방위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