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10대그룹 신년사 키워드는 '성장'…미래사업 육성 주력

'세계', '경쟁(경쟁력)'도 많이 강조

국내 10대 그룹은 올해 신년사에서 '성장', '경쟁(경쟁력)', '변화', '구조' 등을 가장 많이 강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시장', '가치', '고객' 등의 키워드는 사라지거나 뒷전으로 밀렸다.

성장한계에 직면한 그룹들이 성장과 변화를 우선순위에 두고 공격적 경영에 나서면서 상대적으로 느슨한 가치 지향적 경영목표들이 뒤로 밀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룹별로는 최근 2년 동안 신년사를 발표하지 않은 삼성을 제외하고 현대차는 올해 '세계(글로벌)', SK는 '패기', LG는 '사업', 롯데는 '성장'을 키워드로 내세웠다.

13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2012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국내 10대 그룹이 신년사를 통해 제시한 키워드의 빈도수를 조사한 결과 ▲성장(173) ▲세계(글로벌·159) ▲경쟁(경쟁력·153) ▲경영(경영환경 경영성과 경영관리·128)▲고객(116) 등이 100차례를 웃돌아 가장 주요한 5대 키워드로 꼽혔다.

시장(98), 변화(94), 위기(90), 혁신(85), 미래(82) 등이 뒤따랐다.

이건희 회장이 와병 중인 삼성은 2015·2016년 2년 연속 신년사를 발표하지 않았다. 한화도 2013·2014년 김승연 회장의 부재로 신년사가 없었다. GS와 한진은 신년사 전문 대신 보도자료를 인용했다.

올해 키워드에는 특히 공격적인 단어들이 많았다. 5년간 가장 많이 등장했던 '성장'(1위)과 '경쟁'(2위) 외에 작년에 전혀 언급하지 않았던 '변화'(3위), '구조'(4위)가 5위권에 들었다. '구조'는 사업구조·수입구조 등이 빈번하게 사용됐다. 아울러 '변화'와 묶인 경우도 많아 올해가 격변의 한 해가 될 것을 예고하고 있다.

그룹별로도 처한 상황에 따라 키워드가 차이를 보였다.

삼성은 최근 2년간 동안 신년사를 발표하지 않았으나 2012년 이후 3년간 '경쟁력'을 최우선 목표로 뒀다. 주력인 휴대전화 사업이 애플과 중국 기업 사이에 낀 상황에서 글로벌 1위 경쟁력 확보라는 지상의 목표를 실현하려는 의지의 천명으로 해석됐다. '경쟁' 다음으로는 '세계' '기술' '인재' '성장' 등을 5대 키워드로 제시했다.

현대차는 지난 5년간 '세계'를 일관되게 제1 키워드로 인용했다. 세계 시장에서 아직 폭스바겐·도요타·지엠 등을 쫓는 입장이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성장' '생산' '강화' '경쟁' 등이 5대 키워드에 들었다.

포스코와 현대중공업은 5년간 1순위에 꼽혔던 '세계' '경쟁' 등이 사라지고 '구조' '사업본부' 등 구조조정과 관련된 키워드가 제시됐다. 2개 그룹 모두 고강도 구조조정과 함께 체질 개선을 위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점이 투영됐다. 포스코의 2~5위 키워드도 '수익' '혁신' '강화' '효율' 등 그룹 체질 개선과 관련됐다.

10대 그룹 신년사에서 처음 등장한 현대중공업의 '사업본부'와 '흑자' 키워드는 작년 대규모 적자를 내고 본부별 책임경영에 기반을 둔 구조조정을 단행한 것이 배경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전자부문 위기인 LG는 5년간 '고객'이 1위였으나 올해는 '사업'(사업구조 사업방식 등)이 그 자리를 대체했다. 또 새롭게 등장한 '변화'가 3위였다.

지난해 총수가 경영에 복귀한 SK와 한화는 '패기' '1위' 등을 제시해 공격적 행보를 예고했다. SK는 '패기'(1위), '사회'(2위), '투자'(5위)를 5년 이래 처음으로 신년사에 등장시켰다. 한화는 '세계'와 '경쟁'외에 '1위' '핵심'(사업 역량 등) '일류'라는 단어를 새롭게 추가했다. 단골이던 '미래' '위기' '변화'는 사라졌다.

한진은 1위인 '고객' 외에도 '행복'(2위), '신뢰'(4위), '대응'(5위) 등의 제시해 신뢰회복과 이미지 개선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음을 보여줬다. 경영권 분쟁이 있었던 롯데도 '성장'을 우선에 두면서 '변화' '노력' '사업' '경영'을 2~4위에 올려놨다.

GS는 올해 '미래'와 '성장'을 가장 많이 인용해 지난 5년 동안의 기조를 유지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