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9년까지 에너지자립섬 울릉군을 제외한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로 가스 공급지역을 확대한다.
충남 청양, 경남 산청·합천 등 16개 지자체는 도시가스를 추가 공급하고, 도시가스 공급이 어려운 12개 지자체는 액화석유가스(LPG)를 보급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군·마을 단위 배관망, 저장탱크 10기 등 가스 공급인프라 건립에 향후 15년간 약 7조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2차 장기 액화천연가스(LNG) 수급계획'과 'LNG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 공고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LNG 수요는 2014년 3649만3000t에서 2029년 3465만1000t으로 5.0%(연평균 0.34%)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부의 에너지신산업 육성 등으로 전체 사용량의 절반에 가까운 발전용 수요가 작년말 1796만t에서 2029년 948t으로 47.2%(연평균 4.17%)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가정·일반·산업 등 도시가스용 수요는 35.8%(연평균2.06%) 증가하면서 수요량이 균형을 맞출 것으로 산업부는 내다봤다. 산업부가 예상한 2029년 도시가스용 LNG 수요는 작년(1853만3000t)보다 26.4% 증가한 2517만1000t이다.
정부는 이 같은 도시가스 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지역 간 에너지복지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향후 15년간 생산설비 4조6284억원, 공급배관 2조5197억원 등 7조1481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청양·산청·합천 3개 지자체를 도시가스 추가공급 지역으로 선정했으며 ▲강원 태백·양양·정선·고성 ▲경북 봉화·의성·군위, 경남 하동 ▲전남 보성·고흥·진안 ▲제주·서귀포 등도 오는 2019년까지 도시가스 공급이 시작될 예정이다.
에너지자립섬 울릉군을 제외한 나머지는 12개 지자체는 군(500~8000세대), 마을(30~70세대) 단위로 'LPG 저장탱크+배관망' 방식의 가스공급 체계를 구축한다. 대상 지역은 산간지역인 ▲경북 청송·영양 ▲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 ▲전북 장수와 도서지역 ▲인천 옹진 ▲경남 남해 ▲전남 신안·진도·완도 등이다.
이와 함께 천연가스 공급안정성을 높이고 일본·중국 등 동북아 역내 저장수요에 대응하는 '동북아 LNG 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저장시설도 증설한다.
저장용량은 제5기지(20만㎘급 저장탱크 10기) 신규건설을 통해 작년 말 448만t(982.5만㎘)에서 오는 2029년 695만t(1523.5만㎘)으로 55.1% 늘리고, 기화·송출설비 증설을 통해 공급능력도 작년 시간당 1만1672t에서 2029년 1만2872t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공급배관도 올해 4460㎞에서 2023년 5305㎞로 18.9% 연장된다.
셰일가스 개발 확대 추세에 따라 도입선도 7개국에서 오는 2029년 11개국으로 늘리고, 도입가격 결정방식도 유가연동 외에 가스허브지수, 하이브리드 가격방식 등 다변화할 계획이다.
앞으로 국제 시장의 급격한 변동에 대한 충격 최소화를 위해 2~3년 단위 주기적 장기계약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내 천연가스 유통 구조 전반에 불필요한 비용을 발굴하고 인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천연가스 가격경쟁력 제고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등 '천연가스 산업 발전전략'도 추진할 예정이다.
부유식 LNG생산설비(FLNG), LNG 벙커링, 연료전지·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 등 '천연가스 4대 신성장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친환경 아파트·건물 조성 등 '도시가스 시스템 경쟁력제고 5개년 계획'을 수립·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LNG는 온실가스 감축의 가교로 역할하는 친환경 화석연료"라며 "수급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고 천연가스 산업 지속 성장과 기후변화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산업 발전전략의 정책과제들도 차질 없이 실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