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언론보도의 객관성 객관성·공정성·공익성은 5점만점에 평균 2점대로 나타났다.
언론보도의 부정적인 면은 '흥미 위주 보도'가 평균 3.88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선정성' 3.83점, '편파성' 3.72점, '사실과 의견 혼재' 3.71점, '자사 이익 중심 보도' 3.67점, '기사와 광고 경계 모호' 3.65점, '오보가 많다' 3.50점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8월 10∼20일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 1044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다.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03%포인트로 진행됐다.
반면, '언론이 민주주의 유지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3.0%가 '그렇다'고 동의했다. 언론이 사회적·공적 기능을 수행하는지 묻는데 대해서는 응답자의 60.7%가 동의했다.
언론사 공적 지원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언론의 건강한 기능 수행을 위해 공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83.8%로 조사됐다. '언론보도 품질 향상을 위해 공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82.4%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