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산불·들불 화재, 3월 가장 많아…'쓰레기 소각·담배 꽁초' 주의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부는 3월에 산불, 들불 등 임야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7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발생한 임야 화재는 총 7191건이다.

 

이로 인해 사망 35명, 부상 315명의 인명 피해와 3200억원의 막대한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산과 들이 불에 타면서 30.33㏊의 산림도 훼손됐다.

월별로는 3월에 가장 많은 1597건(22.2%)이 발생했다. 이어 4월 1360건(18.9%), 2월 1133건(15.8%) 순이었다.

소방청은 "봄철은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기상 특보가 발효되는 일수가 많아 화재 위험이 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 원인은 쓰레기 소각이 1852건(25.8%)으로 가장 많았다.

담배 꽁초 1607건(22.3%), 논·임야 태우기 1115건(15.5%), 불씨 방치 등 땔감 보일러와 아궁이 취급 부주의 794건(11.0%) 등도 뒤를 이었다. 이 중에서도 쓰레기 소각 및 논·임야 태우기는 3월에 집중 발생했다.

임야 화재로 인한 사망자 현황을 살펴보면 35명 중 31명이 70세 이상 고령자였다. 소규모 불을 혼자서 무리하게 끄려다 화를 입거나 거동이 불편해 미처 화염을 피하지 못한 사례가 대다수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방청은 비닐류 등 농·부산물과 생활쓰레기를 무분별하게 태우는 행위를 자제하고, 소각이 필요한 경우는 이웃 주민의 도움을 받아 마을별로 공동 수거해 소각할 것을 당부했다.

또 땔감 보일러 사용 가구의 경우 보일러와 연통 주변에 목재 등 불에 타기 쉬운 물품을 제거하고, 다 탄 재는 불씨가 남아 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한 뒤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쓰레기 및 아궁이 불씨 등 취급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하면 혼자서 무리하게 불을 끄기보다 불길 방향을 벗어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고 소방청은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