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회 신청으로 복지혜택 다 받는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 도입

신청기관·방법 상이 등 한계 극복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서울시가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한 번만 신청하면 필요한 돌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서울형 통합돌봄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그간 서비스별 신청·접수 기관이 각각 다르고 신청 절차가 복잡할 뿐 아니라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몰라 제때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다음 달부터 추진되는 '서울형 통합돌봄'은 돌봄이 필요한 본인 또는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지원을 신청하면 대상자와 심층 상담을 통해 통합돌봄계획서를 수립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해 돌봄을 제공한다.

동주민센터 소속 통합돌봄관리사가 직접 대상자 가정을 방문해 주거 환경·생활 상태를 살펴 필요한 지원을 파악한다.

단기·단편적 돌봄이 시급할 경우 즉시 서비스를 연계한다. 중장기·복합적 처방이 필요하다면 자치구에 설치된 '통합돌봄지원센터'로 연계한다.

 

거동이 불편해 병원을 찾기 힘든 환자와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의사·한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이 직접 집을 찾아가 진찰·처방하는 '방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행센터 방문간호사 정기 방문을 통해 건강을 살피고 고위험군에 건강장수센터 통합방문관리를 제공한다. 건강교실·소모임 등을 통해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건강장수공동체를 조성한다. 정신 질환 예방과 치료를 통한 사회 복귀 지원을 위해 25개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안심센터, 자살예방센터 등과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노년층을 대상으로 방문 목욕·간호 등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한다. 간호사·물리치료사·사회복지사 등이 조를 이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재가서비스, 병원 방문과 일반적인 외출 등 이동지원서비스 시범 운영 등을 추진한다.

일시적이고 긴급한 위기 상황에 놓인 시민에게는 돌봄SOS 사업을 통해 일시 재가, 단기 시설 입소, 동행지 원, 주거 편의 서비스, 식사 배달 등을 제공한다. 위기 가구를 대상으로 생계·의료·주거비 등의 긴급 지원을 연계한다.

자치구는 돌봄이 필요한 시민을 위한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지역 내 보건소, 건강보험공단지사, 의료기관, 복지관 등과 함께 서비스를 발굴한다.

동주민센터는 현장 방문 등을 통해 돌봄 대상자를 선정하고 보건소·요양기관·복지시설 등에 서비스를 직접 의뢰한다.

426개 동주민센터에는 취약 계층 상담, 현장 방문을 통한 사각지대 발굴 등 업무를 위한 복지 플래너, 방문 간호사, 돌봄 매니저 총 3200여명이 활동 중이다.

서울시는 올해 4개 자치구에 통합돌봄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개선 사항 등을 발굴 후 하반기에 관련 조례를 제정할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서울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현실에서 향후 노인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의 돌봄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통합돌봄서비스 전달 체계를 구축하고 가동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