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고령자 교통사고 증가 요인 및 전망」발표

'26년 고령자 교통사고는 '21년 대비 23.9% 증가 전망
고령 취업자 수/인구 점유율이 최대 요인, '26년 증가율 지역별로 달라

 

[파이낸셜데일리 정경춘기자]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5일「고령자 교통사고 증가 요인 및 발생 전망」을 발표했다.

 

최근 5년('17~'21년)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및 보행자 교통사고 자료와 고령자 취업자 수 등 통계청 사회경제 지표 자료 등을 연계 분석한 결과, 고령자 교통사고는 고령자 취업자 수, 고령 인구율이 주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령 취업자 수는 광역자치도가 특별·광역시보다 2.2배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보행안전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광역자치도에서의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 증가율이 특별·광역시 증가율보다 9.8배 높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반해, 고령 인구율 상승은 특별·광역시가 광역자치도 보다 빨라 고령운전자 수가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26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는 2021년 대비 26.8%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연구소가 발표한 「고령자 교통사고 증가 요인 및 전망」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고령자 취업자 수 및 인구점유율이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 최대 영향 요인

 

17개 광역지자체별 사회경제지표, 교통지표, 기상관측 정보와 고령자 교통사고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 발생 영향 예상11개 요인 중 「고령자 취업자 수」,「고령 인구 점유율(고령인구율)」,「고령자 운전면허 자진반납 수」,「자동차 및 이륜차 등록 대수」,「강수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그 중 「고령자 취업자 수」 및 「고령인구 점유율」은 모든 광역지자체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취업자 수, 고령인구율의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 영향도는 지역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제주도의 경우 고령 취업자 1만명 증가 시 고령 보행자 사고 발생에 최대 25.0% 증가 영향이 있었고, 울산광역시는 고령인구율 1% 증가 시 고령운전자 사고 발생의 최대 37.0% 증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 2026년 우리나라 고령 취업자 수는 323만 여명 및 고령인구율은 21% 전망

 

고령 취업자수는 2021년 262만 4천여명에서 2026년 323만 3천명으로 60만 9천명(23.2%)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중 광역자치도가 41만 6천명, 특별·광역시는 19만 3천명이 늘어나 광역자치도의 고령 취업자 수 증가가 특별·광역시 보다 2.2배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고령 취업자 수 증가는 취업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로 이어져 보행안전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광역자치도 고령보행자 사고 증가가 더 빠를 것으로 분석된다. 

 

2026년 우리나라 평균 고령인구율은 21%로 예측되었으며 광역자치도의 고령화율이 특별·광역시 보다 높아 광역자치도 23%, 특별·광역시는 19%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나, 고령인구 증가율은 특별·광역시(23.3%)가 광역자치도(18.4%)보다 빨라 고령운전자 증가에 따른 특별·광역시 고령운전자 사고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26년 고령자 교통사고는 '21년 대비 23.9% 증가 전망

 

65세 이상 고령자 10만명 당 고령자 교통사고 발생 건 수는 2021년 9,247건에서 2026년 11,459건으로 23.9%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령보행자 교통사고는 광역자치도에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는 특별·광역시에서 그 증가 속도가 빠를 것으로 분석된다. 

 

고령보행자 사고는 2021년 1,236건에서 2026년 1,382건으로 11.8% 증가 전망 되며 특히, 광역자치도의 증가율은 22.1%로 특별·광역시 증가율 2.3%보다 9.8배 높게 나타났다. 

 

고령운전자 사고는 2021년 8,011건에서 2026년 10,077건으로 25.8% 증가 예상되며 특별·광역시 증가율은 26.8%, 광역자치도는 24.7%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장효석 책임연구원은 "지역별 고령 취업자 수 증가율 및 인구 고령화 속도 차이는 고령자 교통사고 증가 또한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고 말하며, 특히 "광역자치도에선 고령보행자 사고가, 특별·광역시에선 고령운전자 사고가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자체별 고령자 통행실태 및 교통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고령 보행자 및 고령 운전자의 수요가 많은 다빈도 이용 통행로를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보행환경 및 도로환경 개선 사업에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