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남미 소비재 시장, 온라인으로 공략해야"

코트라, '코로나19 이후 중남미 소비 트렌드 변화 및 진출전략' 보고서 발간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중남미 소비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60%대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온라인 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트라(KOTRA)는 9일 발간한 '코로나19 이후 중남미 소비 트렌드 변화 및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멕시코, 브라질, 칠레, 페루,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주요 5개국 이커머스 시장 및 진출 전략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오프라인 거래가 강세를 보이던 중남미 소비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eMarketer)의 분석 결과 지난해 중남미 온라인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63.3% 성장해 시장 규모도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넘겼다.

특히 3800만명이 코로나를 계기로 최초로 온라인 구매를 경험했다.

지난해 각국 전자상거래 시장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을 보면 ▲멕시코 81% ▲브라질 66% ▲칠레 30% ▲페루 50% 등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기존에 중남미는 현금결제 위주의 시장으로 계좌 보유 인구도 전체의 50%에 불과했지만 코로나 이후 결제방식이 다변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메리카 마켓 인텔리전스(AMI)가 마스터카드와 함께 중남미 13개국을 대상으로 지난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2%가 코로나로 인해 현금사용을 줄이고 카드 등 대체 수단을 이용했다고 답했다. 칠레(67%)와 페루(68%)에서는 해당 답변의 비중이 더 높았다.

브라질에서도 올해 전체 소매 구매 중 카드 사용이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앱과 QR코드를 활용한 페이팔(PayPal), 메르카도 파고(Mercado Pago) 등 디지털 결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이에 따라 기업들도 앞다투어 대응 전략을 내놓고 있다. 1위 기업인 메르카도 리브레(Mercado Libre)와 아마존 멕시코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은 물류창고 확대, 배송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멕시코의 리베르풀(Liverpool), 브라질의 히아슈엘로(Riachuelo) 등 주요 중남미 유통기업들도 인터넷 주문 후 현장에서 수령하는 '클릭 앤 콜렉트(Click and Collect)' 서비스를 제공한다.

배달 서비스도 주목할 만하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배달앱 라피의 사례처럼 화장품을 배송하고 페루에서는 개인위생 제품을 1시간 내에 신속 배달해주는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기중 코트라 중남미지역본부장은 "우리 기업의 이커머스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올 하반기 멕시코, 브라질, 페루 등에서 온라인 플랫폼 입점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우리 기업들의 성공적인 진출을 돕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