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항공사들의 장시간 항공기 지연과 예약 승객이 적다는 이유로 해당 노선 운항을 정지하고 탑승객이 많은 타 노선으로 운항 스케쥴을 돌리는 이른바 돌려막기에 철퇴가 가해진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기의 정시성을 제고하기 위해 운항계획 준수 여부를 조사하는 전담반을 구성·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에 구성된 전담반은 최근 물의를 빚은 장시간 지연 사례나 항공기 돌려막기와 같은 관행으로부터 항공교통이용객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 사업계획 준수 여부 조사 권한을 규정한 개정 항공법이 7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제도운영과 관련된 세부 사항도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확정했다.
확정된 개정 항공법에 따르면 조사대상을 사업계획 중 노선, 운항횟수 및 시간 등 운항계획 관련 사항으로 구체화하고 조사권한은 지방항공청에 위임했다.
개정 항공법 시행으로 2012년부터 시범운영해 온 전담조사반제도의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뿐만 아니라 항공기 지연과 결항 발생 시 공항별 전담반이 지연·결항 사유의 위법 여부와 신고 절차 준수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예약승객이 적다는 이유로 항공편을 갑자기 취소하는 항공사의 무책임한 행태가 근절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전담조사반 제도의 본격적인 시행으로 항공교통의 정시성을 높여 국적 항공사의 서비스 수준이 향상되고 이용객 편의 증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