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6일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에 대한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더민주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새누리당 안대희 최고위원의 김 위원장 비난 발언을 거론하며,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을 비판할 자격이 없다"고 맞받았다.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 안대희 최고위원에게 묻는다"라며 "지금의 박근혜대통령과 새누리당의 모습이 과거 (대선 당시 발표한) 정치 쇄신안에서 약속했던 그 모습이라 생각하느냐"라고 따졌다.
그러면서 "안 최고위원은 (대선) 당시에 박근혜 후보와 나란히 정치쇄신안을 발표, 쇄신안 채택을 위한 의지를 보인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그는) 선거회의에 불참하고 사퇴의사를 밝히기도 했다"고 안 최고위원을 비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김 위원장의 국보위 전력을 거듭 공격하고 있는 국민의당을 겨냥, "김 위원장이 참여한 국보위 경력도 반민주 경력인양 비난하는데, 이는 비난을 위한 비난이라고 평가한다"면서 "김 위원장은 세제 전문가로서 부가가치세 폐지를 막으려고 참여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부가가치세가 학생운동을 진압하겠나, 군부독재를 강화시켰냐, 헌정 유린했느냐"며 "김 위원장 과거는 야당 선거를 지휘할 충분한 경륜이 있는 그런 경력"이라고 반박했다.
이석현 국회 부의장도 김 위원장 엄호에 나섰다.
이 부의장은 "김종인 위원장은 경제민주화의 아이콘이자, 우리 헌법에 경제민주화 조항을 넣은 분"이라고 김 위원장을 평가했다.
그는 "6월 항쟁으로 전두환 정권이 항복하고, 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할 때 제가 김대중 선생의 정치비서를 하면서 직선개헌안을 작성하는 특별위원회의 전문위원을 겸했었다"면서 "그 개헌 때 김종인 박사가 바로 그 직선개헌안에 경제민주화를 집어넣었다"고 87년 헌법 개정 당시 경제민주화 조항을 헌법에 넣은 이가 김 위원장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는 지난 대선 때 '김종인표 경제민주화' 공약을 쓰고, 실천은 '최경환표 반 경제민주화' 정책을 썼다"고 꼬집었다.
이 부의장은 "공약대로 했으면 우리 경제가 이렇게 동맥경화에 걸리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우리 당은 김종인 위원장과 함께 반드시 경제민주화를 실천해서 침체에 빠진 경제 살릴 것"이라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