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임명 재가만을 앞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이르면 다음 주 방미(訪美)길에 올라 한미 통상 협상 '막판 조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한미 관세 협상은) 긴급한 사항이기 때문에 구 후보자가 취임하게 되면 이를 최우선에 두고 최대한 빠르게 미국으로 향할 가능성이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구윤철 후보자는 현재 국회의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임명 재가만을 앞두고 있다.
다음 달 1일로 예고된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 시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구 후보자는 취임 직후 미국과의 '랜딩 존'(합의점)을 찾기 위한 막판 협상에 전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문회 과정에서 농지 쪼개기 매매, 기재부 예산실장 재직 당시 비리 업체 방문 의혹 등이 제기됐음에도 야당이 구 후보자의 청문 보고서를 채택에 찬성한 이유 역시 대미(對美) 관세 협상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미국과의 관세 협상 등 민생 전반에 직결되는 현안을 다루는 부처의 장관 자리를 비워둘 수 없다는 판단 하에 구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를 채택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 후보자도 전날 국회에서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한미 통상 협상에 대해 "한미 간 상호관세 유예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취임 즉시 관련 사안을 면밀히 챙기겠다"며 "바로 미국을 다시 가든지 해서 가장 크게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빠른 시일 내에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방미 일정에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또는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동행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럴 경우 지난 4월 이후 중단됐던 한미 간 '2+2 고위급 협의체'(재무·통상 책임자 간 회담)가 재개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과 미국은 관세 및 비관세 장벽 해소는 물론, 제조업 분야의 협력 강화와 투자 확대 등 주요 통상 현안을 아우르는 포괄적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