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제안한 것과 관련, "6자회담의 틀을 완전히 무시하고 한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대통령의 5자회담 제안과 6자회담 무용론에 대한 질문을 받고 "6자회담 틀 내에서 5자회담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해보자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대변인은 또 "6자회담이 개최되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핵능력은 지속되고 있다"며 "(정부는) 5자회담 뿐만 아니라 한·미·일, 한·미·중 등 소다자 협력 등 다양한 방안을 미국을 비롯한 다향한 국가와 다각적인 협의를 해왔다"고 말했다.
5자회담 제안과 관련해 중국과의 사전 조율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조율이 있었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동안 비핵화 공감대를 가진 나라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해왔다"고 답했다.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 당사국이 만날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앞으로의 진행 과정에 대해서는 제가 말씀 드릴 것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정 대변인은 여야가 오는 29일 북한인권법과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을 처리하기로 합의한 데 대해서는 "서비스발전기본법, 노동개혁 관련 4법 중 파견법, 테러방지법 등 국민의 안전과 민생을 위한 국민들의 여망을 하루속히 빨리 감안해주길 바랄 뿐"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