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2일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주제로 정부부처로부터 신년 업무보고를 받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새해 네 번째 정부부처 업무보고 일정으로 통일부·외교부·국방부 등 3개 부처의 합동 업무보고를 청취한다.
이날 업무보고에서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따른 대북 제재조치와 관련한 언급이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이번 핵실험이 동북아 안보지형 자체를 뒤흔들 정도의 위협인 만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지난 13일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이번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이전과는 달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실효성 확보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금융, 무역 등 새롭고 다양한 조치들을 포함시켜 강력하고 포괄적인, 이번에는 정말 아프게 변화할 수 밖에 없도록 하는 목적을 갖고 (제재조치를) 마련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북제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중국을 향한 추가 메시지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어려울 때 손을 잡아주는 것이 최상의 파트너"라며 중국의 대북제재 동참을 독려했지만 중국은 구체적인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밖에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등을 감안해 가면서 우리의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합의안 등과 관련한 언급 여부도 관심사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14일 '내수와 수출의 균형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주제로 한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국토교통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등 7개 경제부처의 합동보고로 신년 업무보고 일정을 시작했다.
이어 지난 18일에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을 주제로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관광부, 금융위, 산업부, 보건복지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6개 부처 합동보고를 받았으며 20일에는 교육부, 고용노동부, 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4개 부처의 '청년일자리 창출 및 맞춤형 복지' 합동보고를 청취했다.
박 대통령은 오는 26일 '국가혁신'을 주제로 한 행정자치부, 법무부, 환경부, 국민안전처, 국민권익위원회 등 5개 부처의 업무보고를 마지막으로 올해 신년 업무보고를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