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4차 핵 실험 강행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8일 정오부터 재개키로 했다. 지난해 8월 25일 중단 이후 4개월여 만이다.
정부는 7일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을 통해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은 유엔 안보리 결의 등 국제사회에 대한 약속과 의무를 정면으로 위배한 것일 뿐 아니라 비정상적 사태를 규정한 8·25 남북합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라며 "이에 따라 정부는 1월8일 정오를 기해 대북확성기 방송을 전면 재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우리 군은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만일 북한이 도발할 경우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북한 당국이 '체제 위협'으로 느낄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안이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가 이를 재개키로 한 것은 이번 북한 핵실험이 8·25 남북합의에 명시된 '비정상적 사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8월 북한의 목침지뢰 및 포격 도발 이후 이뤄진 8·25 남북고위급 접촉 합의를 통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중단했다. 당시 공동발표문은 "남측은 비정상적인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한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모든 확성기 방송을 8월 25일 12시부터 중단하기로 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는 이날 오후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서 논의한 뒤 결정된 정부 방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