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타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를 두고 긍정적인 여론과 부정적인 여론이 교차하는 가운데 여당 내에서도 반응이 다소 엇갈리고 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인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은 30일 오전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외교적으로 차선의 선택이었다"면서도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해를 구하는 부분에서 부족했다"고 평했다.
나 의원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섭섭해 하시는 걸 많은 부분 공감할 수 있다"며 "양국 정부의 후속조치를 성실하게 이행하는 방법으로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회복과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진정성 있는 후속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소녀상 철거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가 낸 표현이 굉장히 아쉽지만 아마 정부로서도 시민단체를 설득하지 못하면 (소녀상) 이전은 어렵지 않느냐 이런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며 "시민단체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병국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법적 책임의 불명확성, 사과 표현 방식, 피해자 배상 방식 등 미흡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외교는 상대가 있고 100%는 없는 만큼 큰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정 의원은 "합의과정에서 위안부 할머니와 소통하지 못한 건 아쉽다"며 "이 문제의 근본 해결을 위해서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해결됐다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행 과정에서 위안부 할머니들과 적극 소통하고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며 "생존한 46분의 할머니들과 사망한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한일 양국 정부와 국회가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연내 타결이 이뤄져 다행이다. 내용이 미흡한 부분도 있다"며 "직접 피해를 당한 할머니들이 마음이 안 풀리고 어려움이 많겠지만 미래를 향해 이해하고 받아달라"고 요청했다.
이 최고위원은 "국민도 한일관계 미래를 위해 폭넓게 수용해야 한다"며 "우리가 일본보다 더 강한 경제력을 구축하면 과거사 문제는 역사 속에서, 우리 의식 속에서도 사라진다"고 주장했다.
김을동 최고위원은 "또 다시 일본 정치 관료의 과거사 막말이 재발하면 아무리 일본이 이 문제에 대해 종지부를 찍고 싶어 해도 그대로 되지 않는다"며 "사죄와 반성이 참된 것인지 또 다른 거짓인지 두 눈 똑똑히 뜨고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