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위안부 문제 타결, 北도 공식 대응 나설까

北 “성노예 피해자 북에도 있다”…일본인 납치 문제 맞물려 '대응'주목

북한은 한일 양국 정부가 지난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타결한 데 대해 29일 오전까지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북한은 지난 1990년대 이후 북쪽에도 위안부 피해자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거나, 일본 측 입장을 비난해 왔다는 점에서 이번 한일 양국의 위안부 문제 타결에 어떤 반응을 보일지 관심이 쏠린다.

북한은 그동안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주로 민간 차원에서 협의를 해 왔으나, 일본 측과 당국 차원에서 이 문제를 직접 논의한 적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렇지만 이번 한일 당국의 위안부 문제 타결을 근거로 일본 측에 별도의 당국 차원의 해결을 요구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와 관련, 북한의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 11월 한일 정상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협의하기로 합의하자, 즉각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는 조선반도 북에도 있다”면서 “일본은 조선 인민에게 저지른 반인륜 범죄와 피해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인정하고 하루빨리 전체 조선 민족이 납득할 수 있게 배상해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북한은 지난 1990년 일본에서 열린 남북한과 일본 여성들의 심포지엄에서 처음으로 북한에도 위안부 관련 자료가 있다고 주장했었다. 이후 한국 중국 일본의 민간 단체가 주관하는 학술회의 등에 참석해 피해자 증언이나 자료를 공개해 왔다.

일례로 지난 5월30일 중국 옌지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일본 학자들과 함께 조사한 결과, 1928년 함경도 나남의 풍골, 청진의 방진, 회령 등 일본군 19사단 관할 지역에 위안소 3곳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첫 위안소로 알려진 상하이 위안소 설치 시점(1932년)보다 4년 앞서는 것이라 학계의 관심을 모았었다.

또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000년 3월 국제심포지엄에서 북한의 위안부 피해자 218명을 조사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일본군에게 끌려간 상황이나 당시 연령 등을 상세히 공개했었다.

한편, 북한은 지난 2002년 9월 김정일-고이즈미 총리간의 정상회담 공동선언에 일본 측의 과거 식민지 지배에 따른 피해에 대해 사과와 반성을 명시했었으나, 위안부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다.

일부에선 북한이 역으로 일본인 납치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로부터 상당한 압박을 받아왔으며, 이 문제가 북일관계 개선과 맞물려 있다는 상황으로 인해 북한지역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 한국만큼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