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는 29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과 관련해 "그동안 정부는 무엇보다도 위안부 피해자 분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야 한다는 확고한 원칙을 가지고 노력해 왔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올해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어제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된 협상이 타결됐다. 이번 합의를 역사에 이러한 일이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짐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황 총리는 "일본 정부가 양국간 합의문에서 표명한 조치를 착실히 이행함으로써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상처가 조금이나마 치유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우리 정부도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생활지원 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올해 마지막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소회도 밝혔다.
황 총리는 "올해는 국가혁신의 틀을 다지고 경제 재도약을 위한 계기를 마련한 한 해였다"고 평가하면서 "메르스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난관을 극복하고 국가발전을 위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신 국민 여러분과 묵묵히 업무에 전념해 준 공직자 여러분,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노력해 주신 국무위원 여러분께 감사 드린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그러면서 "노동개혁법안과 경제활성화법안, 테러방지법 등 주요 법안이 아직도 국회에서 처리 되지 않고 있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국회는 절박한 심정으로 입법상황을 지켜보고 계시는 국민들을 위해 법안들을 조속히 처리해 줄 것을 부탁 드린다"고 거듭 당부했다.
황 총리는 일부 시도교육청에서 내년도 어린이집 누리과정(만3~5세 무상보육)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 데 대해서는 "누리과정 예산편성은 교육감의 가장 중요한 책무이자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법령상 의무"라며 "시도 교육청과 시도 의회는 내년도 누리과정 예산을 조속히 편성해 법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총리는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11세 어린이 학대 사건'과 관련해선 "아동학대는 중대한 범죄"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교육부 등 관계부처는 아동학대 예방체계와 학대아동 보호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철저히 분석해 필요한 보완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