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일 외교장관회담 개시…위안부 '성과' 나오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한일 외교장관회담이 28일 오후 2시에 시작됐다. 

이날 오후 1시 54분께 서울 외교부 청사에 도착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입을 굳게 다문 채 회담장이 마련된 청사 17층으로 이동했다. 

오후 1시 57분께 회담장에 모습을 드러낸 기시다 외무상은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던 윤병세 외교부장관이 "웰컴 투 코리아(welcome to Korea)"라고 인사를 건네자 "안녕하세요"라는 한국말로 짧게 인사를 받았다. 

이날 외교장관회담에는 일본측에서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배석했다. 

이날 외교장관회담은 두 나라 대표가 인사를 나누는 장면까지만 공개한 뒤 곧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한일 양국은 이날 외교장관회담 종료 후 오후 3시 15분부터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회담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한일 양국은 27일 제12차 국장급 협의를 서울에서 열어 외교장관회담에서 논의할 의제를 조율했다. 

우리 정부는 이날 협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반인도적 불법 행위로써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의해 해결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전시에 위안부를 강제동원한 것 자체가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날 외교장관회담에서 이러한 입장을 토대로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명확히 하는 방향의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막판 외교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대해 두 나라가 '법적 책임'이라는 틀에 얽매이기보다는 일본 정부의 '책임'을 강조하는 선에서 합의를 끌어낼 거라는 관측도 나온다. 

배상 문제와 관련해서도 '위로금'이라는 표현이 아닌 일본 정부 차원에서 사죄한다는 의미를 담은 수준의 적정한 용어를 채택하고,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방식을 마련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해 일본 언론을 중심으로 일본 정부가 10억엔(약 97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고, 총리가 사죄 편지를 보내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소녀상의 이전 및 철거 문제도 이번 회담의 주요 쟁점 중 하나다.

다만 한국 정부로서는 민간단체가 설치한 이 소녀상에 대해 정부가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일본 측에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우리 정부는 일본 언론들로부터 '한국 정부가 시민단체를 설득해 위안부 소녀상을 남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일본 측의 진정성에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며 공개적으로 항의의 뜻을 전달하기도 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