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안철수 의원 "낡은 정치 타파 내 정치 목표"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배경도 설명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무소속 안철수 의원은 17일 "낡은 정치를 바꾸지 못하면 정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탈당선언 이후 처음으로 전북 전주를 방문한 안 의원은 이날 전북도의회에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이 '낡은 정치 타파'를 강조했다.

안 의원은 "낡은 정치를 바꿔달라는 국민들의 열망에 정치를 시작했다"면서 "(내가)정치를 하는 이유는 낡은 정치를 바꾸기 위한 것이며, 낡은 정치를 타파하지 못하면 정치 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권교체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안 의원은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책임이며, 정권이 실정을 하면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그러나 실정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정권을 유지한다면 국민들을 위한 정치, 국민들을 두려워하는 정치가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한 정당이 오래 집권하다 보면 국가권력기관들이 이른바 '줄 서기'를 한다"면서 "국가 권력기관들의 이런 행태를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여야 모두 집권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면서 "야권이 집권 경험이 없으면 기회를 줬을 때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혁신의 성패는 국민들이 판단하는 것이다"면서 "국민들의 시각으로 봤을 때 당이 바뀌지 않았다고 생각하면 새정치민주연합의 혁신은 실패한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더 큰 혁신을 하기위해 부패청산과 낡은 진보·새로운 인재 영입 등의 3대 원칙과 구체적인 대안도 제시했다"면서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탈당 배경을 설명했다.

안 의원은 문재인 대표의 책임론도 다시 언급했다.

그는 "문재인 대표가 '당을 위해서라면 어떤 제안도 수용할 용의가 있다'는 한마디만 했어도 탈당이라는 선택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현 상황으로 봤을 때 총선승리는 물론이고, 정권교체가 어려울 것이라는 위기감이 들었고 이대로 앉아서 가만히 죽을 수는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안 의원은 '혁신 경쟁'을 강조하며 자신감도 내비쳤다.

그는 "이제는 새정치민주연합 등과 혁신경쟁을 할 수밖에 없고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주겠다"면서 "좋은 인재들을 선보이고 국민들만 보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혁신이 성공하기위해서는 개방과 참여·연대의 원칙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안 의원은 "부패하거나 막말하거나 갑질로 국민 마음의 상처주는 사람과 하지 않겠다"면서 "남을 배척하는 사람, 기득권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과는 절대 함께 하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