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與, 靑 반대했던 '안심번호제 도입' 확정…'돌변'배경 주목

김 대표측과 친박계가모종의 '딜'을 한 것 아니냐는 관측 제기돼

새누리당 지도부가 14일 청와대와 공개적인 충돌을 빚었던 '안심번호제' 도입을 재추진키로 했다. 이 과정에서 친박계가 반대 입장을 표명하지 않아 배경이 주목된다.

이날 복수의 당직자들에 따르면 정개특위 여당 간사인 이학재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날 오후 열릴 정개특위 전체회의에서 '안심번호 도입'을 여야 합의 안건으로 처리하겠다고 보고했다.

이 간사는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초빙, 최고위원들에게 안심번호 제도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하는 시간도 마련했다.

김무성 대표는 조 교수의 브리핑 직후, 이번 공천에서 정확한 여론조사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안심번호 제도 도입이 절실하다는 점을 최고위원들에게 재차 강조했다.

이에 친박계 맏형 서청원 최고위원은 "그렇게 하자"고 별다른 반발없이 넘어갔다.

결국 최고위원회는 안심번호 도입을 추인했다.

이 과정에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인제 최고위원만 "통신3사에게 정당의 투표권과 관련한 개인정보를 관리하게 해서는 안된다"며 소극적인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심번호 문제는 지난 9월 추석 연휴 중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 대안으로 전격 합의하면서 논란을 산 바 있다.

두 사람의 합의 이후 친박계는 물론 청와대 홍보수석까지 나서 안심번호 합의에 대한 우려를 표명, 김 대표가 결국 백기를 들고 없던 일로 된 문제였다.

특히 지난 10월 22일 청와대 5자 회동에서도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안심번호 자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바 있다.

당시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간 5자회동에서 문재인 대표는 '안심번호제를 이미 합의했다'는 취지로 약속이행을 촉구했고, 김무성 대표는 "합의사안이 아니다"라며 "박 대통령 앞에서 선거제도나 공천 룰 관련 언급은 부적절하다"고 문 대표를 강력 제지했다.

김 대표는 또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추인을 받아야 효력이 발생한다"고 자신이 합의한 안심번호를 부인했다.

그러나 김 대표가 두달 만에 안심번호 문제를 다시 끄집어냈고, 극렬 반대하던 친박계가 수용으로 입장을 돌변한 셈이다.

따라서 갑작스런 입장 변화를 놓고 여권 내부에서 김 대표측과 친박계가 모종의 '딜'을 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관련 한 핵심 당직자는 "김 대표가 친박계를 비롯한 청와대와 이 문제를 상의했는지는 모르지만 서청원 최고위원 등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반대하지 않고 넘어간 걸 보면 아마 양측이 물밑 협의를 했으니 가능한 일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또다른 친박계 인사는 "김 대표가 추석때 문재인 대표와 합의했던 것은 안심번호를 통한 100% 여론조사 경선이어서 이건 말이 안된다고 우리(친박계)가 반대한 것 아니냐"며 "그런데 이제는 김무성 대표가 당헌 당규대로 국민과 당원 참여 비율을 50 대 50으로 하기로 했으니 여론조사는 공정성을 위해 안심번호를 사용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설명에도 불구하고 청와대와 친박계는 지난 9월 합의당시, 안심번호 도입 자체에 문제를 제기해왔던 게 사실이다.

따라서 양측의 갑작스러운 입장 변화를 두고 앞으로 온갖 억측이 나돌 전망이다.

벌써부터 당내에서는 비박계를 대리하는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를 대리하는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지난 9일 만찬에서 공천 룰 문제 등 총선 문제를 광범위하게 합의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