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화제



장애 서비스 복구율 36.7%…"우선순위 따라 최단기간 복구 추진"(종합)

"우체국 쇼핑, 나라장터 쇼핑몰, 전자바우처 시스템 등 복구"
"국정자원에 제조사 복구 인원 80명 추가 투입…복구 속도"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보시스템의 복구율이 30%대를 기록 중인 가운데, 정부가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를 최단 기간에 재개할 수 있는 복구 방식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13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전 9시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 및 복구 방안과 정보시스템 장애 관련 민원 처리 실태를 점검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1등급 30개 시스템(75%), 2등급 35개 시스템(51.5%)을 포함해 총 709개 시스템 중 260개가 복구됐다. 복구율은 36.7%를 기록 중이다.

1등급 시스템 중에서는 우편정보 ePOST 쇼핑(우체국 쇼핑),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이 복구됐고,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도 정상화돼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서비스도 재개됐다.

정부는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한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해 복구하기로 했다.

 

화재·분진 영향이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히 시스템을 복구하되, 7-1 전산실 등과 관련된 시스템은 백업 또는 옛날 시스템을 활용해 복구를 추진한다.

국정자원에서는 기존 700여명의 복구 인력에서 제조사 복구 인원 80명도 추가 투입했다.

정보시스템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는 화재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2700여 건이 접수됐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해 현재는 하루 300건 내외가 접수되고 있다.

주요 상담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등 민원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이다.

 

장애 시스템 복구와 관련해 윤 장관은 "8전산실에 전기 공급이 재개돼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신속하고 성공적인 복구를 위해 '안전·보안·신뢰'의 3대 원칙 아래 복구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윤 장관은 "복구는 속도도 중요하지만 현장 안전이 전제되지 않으면 어떤 성과도 의미가 없다"며 "복구 작업 과정에서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전력 공급, 장비 가동, 전산실 작업 등 모든 단계에서 위험 요인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했다.

또 "복구 과정에서 단 한 건의 보안 사고도 발생해서는 안 된다"며 "출입 통제부터 데이터 접근까지 모든 과정에서 철저한 보안 원칙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복구 현황과 향후 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 불편 최소화 조치도 끝까지 병행하겠다"며 "모든 시스템이 복구되는 날까지정부는 최선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