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이찬진 금감원장, 상호금융회장 간담회…"지역 자금공급에 집중해야"

"소비자보호, 선택 아닌 조합의 존재 이유"
"금융사고, 조합 존립 위협..내부통제 강화 필요"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4개 상호금융중앙회 회장을 만나 부실 증가를 유발하는 지역 외 부동산개발 대출이 아닌 지역 내 구성원들의 자금공급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19일 농협중앙회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 김윤식 신협중앙회 회장, 노동진 수협중앙회 회장,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 회장과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이 원장은 "상호금융은 다른 어느 업권보다 관계형 금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반 여건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계량화된 신용정보 외에도 조합 직원들이 공동체 구성원들과 소통하며 파악한 정성적인 사정, 경제적 상황 등을 충분히 활용해 대형 금융회사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 내 '니치마켓(틈새시장)'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업권의 부실 증가도 조합들이 리스크를 파악하기 어려운 지역 외 부동산개발 대출을 크게 확대한 결과로 볼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며 "차주의 사정을 폭넓게 파악할 수 있는 지역 내 구성원들에 대한 자금공급에 집중해 주길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중앙회가 구심점이 돼 모바일 플랫폼 개선 등 접근성 강화, 신용평가시스템 고도화를 적극 추진해 금융환경 변화와 전통적인 영업 기반 약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최근 부동산 개발성 대출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돼 업권의 연체율이 상승하고 수익성도 악화됐다"며 "하반기 중 조합들이 적극적인 상·매각 등을 통해 신속히 부실을 정리할 수 있도록 조합들의 업무 지도·감독에 충실히 임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일선 조합에서는 횡령, 부당대출 등 크고 작은 금융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영세한 조합들은 1건의 금융사고가 조합의 존립 자체를 위협할 수 있으므로 내부통제를 촘촘하고 세밀하게 실시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상호금융업 특성상 직원 수가 많지 않고 내부 견제장치가 취약해 조합 자체 인력·인프라에 기대서는 충분한 내부통제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면서 "선진적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금감원과 함께 추진 중인 여신업무 내부통제 개선방안 마련에 적극 참여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상호금융 이용자들의 상당수는 조합과 이해관계를 함께하는 동반자이므로 소비자보호는 선택이 아닌 조합의 존재 이유"라며 "경기 변동에 취약한 지역 농림어업인 및 중소상공인들이 일시적 자금 수급 애로로 인해 본업이 어려운 상황까지 내몰리지 않도록 소비자 상황에 맞는 정책성 대출 상품 안내, 적시성 있는 채무조정 지원 등이 충분히 이뤄지도록 힘써달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