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LG그룹 구광모 회장이 지난해 약 88억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LG그룹 지주사인 ㈜LG가 공시한 2021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대표이사인 구 회장은 지난해 급여 44억6천만원, 상여금 43억7천만원 등 총 88억3천만원을 수령했다. LG 측은 "대외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 성장세 둔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경영 성과를 달성하고,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사업구조 고도화 및 사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점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2018년 6월 LG그룹 회장으로 취임한 구 회장은 취임 첫해 보수(7~12월)로 12억7천만원을 받았고 2019년에는 54억원, 2020년에는 80억1천만원을 받았다. 지난해까지 ㈜LG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맡았던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권영수 부회장은 ㈜LG에서 작년에 31억8천만원을 받았고, 신임 ㈜LG COO인 권봉석 부회장은 작년까지 최고경영자(CEO)로 있던 LG전자에서 27억1천만원을 받았다. LG그룹 주요 계열사에선 LG화학 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이 31억9천만원,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전 사장이 20억2천만원, LG디스플레이 정호영 대표이사가 13억4천만원을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CJ그룹 이재현 회장이 지난해 218억6,1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주사인 CJ에서 90억7,300만원, CJ제일제당에서 83억9,200만원, CJ ENM에서 43억9,6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이는 세곳에서 전년도에 받은 123억7,900만원보다 76.6% 증가한 것이다. CJ 관계자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데 따른 것으로, 경영진 대부분의 성과급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손경식 CJ그룹 회장은 CJ제일제당에서 106억7천만원을 받았다. 이는 전년보다 4.4% 늘어난 것이다. 이미경 CJ그룹 부회장은 CJ ENM에서 48억8,500만원을 받아 전년보다 64.1% 증가했다. 또 김홍기 CJ 대표는 27억7천만원,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는 24억5천700만원, 강호성 CJ ENM 대표는 23억5천800만원을 각각 받았다.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작년 SK㈜에서 40억여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SK㈜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최 회장은 작년 SK㈜에서 급여 30억원, 상여 10억9천만원 등 총 40억9천만원을 받았다. SK 측은 "상여는 2020년 등기이사 재직기간 성과에 따른 경영 성과급으로 2021년 2월에 지급했다"며 "매출액, 영업이익 등으로 구성된 계량 지표 외에 비계량지표 측면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발휘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성과급 10억9천만원을 산출해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SK㈜와 SK하이닉스 2곳에서 보수를 받는데 지난해 사내 일각의 성과급 불만으로 인해 SK하이닉스 연봉 반납을 약속함에 따라 작년 최 회장의 연봉은 SK㈜에서 수령한 40억9천만원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SK㈜의 '연봉 1위'는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으로, 급여 20억원과 상여 42억4천500만원 등 총 62억4천500만원을 받았다. 장동현 SK㈜ 부회장은 45억6천700만원을 받았고, 박성하 SK㈜ C&C 사장은 19억3천만원을 수령했다. SK㈜의 직원 수는 4천448명으로, 1인당 평균 급여액은 1억700만원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지난해 7년 만에 경영에 복귀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총 84억원을 보수로 수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한화그룹이 공시한 2021년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김 회장은 ㈜한화와 한화솔루션에서 각각 27억원, 한화건설에서 30억원을 수령했다. 한화 측은 "그룹 전반에 걸친 미래 신성장동력 발굴과 해외 네트워크를 통한 글로벌 사업 자문·지원 등 (김 회장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2014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7개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가 지난해 취업제한이 풀리면서 7년 만에 ㈜한화와 한화솔루션, 한화건설 등 3개 핵심 기업의 미등기 임원으로 복귀했다. 김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사장은 ㈜한화와 한화솔루션에서 각각 18억2천만원, 19억7천만원 등 총 37억9천만원을 작년 연봉으로 받았다. 다만 김 사장의 보수에는 양도 제한 조건부 주식 보상이 포함돼 있어 최종 지급액은 2031년 1월 주가에 따라 확정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파이낸셜데일리 서현정 기자] GS는 지난해 허태수 회장에게 보수 29억2천200만원을 지급했다고 18일 공시했다. GS에 따르면 허 회장은 급여로 25억4천600만원, 상여금으로 3억7천600만원을 받았다. 2019년 12월 GS 회장에서 물러난 허창수 GS 명예회장은 GS로부터 14억9천900만원을 받았다. GS건설 회장인 허 명예회장은 GS건설로부터 37억7천900만원도 받았다. 이밖에 홍순기 GS 사장은 11억1천만원, 김석환 GS 사장은 7억7천800만원, 정택근 고문은 7억4천7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오익근 대신증권 대표의 연임이 확정됐다. 대신증권은 18일 대신위례센터에서 제61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오 대표의 연임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오 대표는 1987년 대신증권 공채로 입사해 대신금융그룹에서 32년간 근무한 재무금융전문가로 2019년 12월27일 열린 이사회에서 대표이사 직무대행으로 임명된 이후 2020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오 대표는 지점영업, 마케팅, 인사, 재무관리, 리스크관리, IB(투자은행) 등 증권업 전 부문을 두루 거친 재무금융전문가이다. 대신증권은 이날 오전 9시 대신위례센터에서 제61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임의 건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등의 안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대신증권은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영업수익 3조6353억원, 영업이익 8855억원, 당기순이익 6158억원을 기록했다. 배당안은 이사회가 제시한 보통주 1주당 1400원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24년 연속 현금배당을 실시하게 됐다. 우선주는 1450원, 2우선주는 1400원을 배당한다. 이사 선임의 건도 확정됐다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호반건설 김상열 회장이 친족이 보유한 12개사와 사위 등 친족 2명을 누락한 행위로 검찰에 고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 이하 공정위)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호반건설의 김상열 회장이 2017~2020년 기간 동안 대기업집단 지정을 위한 자료를 제출하면서, 친족이 보유한 13개사와 사위 등 친족 2명을 누락한 행위로 고발 조치했다고 17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삼인기업(업종:건설자재유통업)은 계열회사 직원들도 친족회사로 인지해왔던 회사로서 협력업체 등록을 위한 신용등급 등 요건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거래를 개시할 목적으로 계열회사가 아닌 것으로 보이기 위해 친족 보유 지분을 타인에게 양도한 후 ‵20.7월부터 ㈜호반건설 등과 거래를 개시했다. 이에 ㈜호반건설은 3년간 우수협력업체 표창을 받은 기존 거래업체를 사전 설명 없이 친족이 소유한 ㈜삼인기업으로 변경시키고 물량을 몰아주었으며 이후 매출이 크지 않았던 회사(자본금 5백만원)를 6개월 만에 연 매출 20억원(‵20.7~12월 18억원, 「호반건설」 거래비중 88.2%)회사로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또 세기상사㈜, ㈜영암마트운남점, ㈜열린개발은 사위,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신한금융투자 GIB 총괄 각자대표 사장 후보로 김상태 전 미래에셋증권 IB(투자은행) 총괄 사장이 추천됐다. 신한금융지주는 17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자회사경영관리위원회(이하 자경위)를 열고 김상태 전 미래에셋증권 IB총괄 사장을 신한금융투자 GIB(글로벌·그룹 투자은행) 총괄 각자대표 사장으로 신규 추천했다. 이에 따라 기존 이영창 대표는 WM(자산관리) 등 리테일 부문을, 새로 영입된 김상태 대표는 IB(투자금융) 부문을 총괄하며 '투톱' 경영구도를 이루게 됐다. 그동안 자경위는 그룹의 자본시장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IB분야 경쟁력 제고가 필수라고 보고, 성과와 역량이 검증된 국내 최고 수준의 IB 전문가에 대한 물밑 영입을 추진해 왔다. 자경위의 평가에 따르면 김 내정자는 정통 증권맨으로, 주식발행시장(ECM)과 채권발행시장(DCM) 등에서 딜소싱 역량과 추진력을 인정받아 왔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이 IPO(기업공개) 시장의 강자로 자리 잡는데 기여했고, 대우증권과 미래에셋의 통합 과정에서도 안정과 화합을 이끌어내는 리더십을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경위 관계자는 "신한금융그룹은 최근 수년간 아시아신탁과 신한벤처투자(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국내 5대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사원 정기 채용을 유지 중인 삼성이 2022년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시작한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들은 전날 저녁 채용 홈페이지에 상반기 3급(대졸) 신입사원 채용 공고를 게시했다. 삼성은 오는 21일까지 지원서를 접수하고 5월 중 직무적성검사(GSAT)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5∼6월 중 면접을 거쳐 7월 중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GSAT 일정은 1차 직무적합성평가를 통과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추후 공지한다. 삼성은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상반기부터 GSAT를 온라인으로 전환했으며 올해도 온라인으로 치를 예정이다. 채용 규모는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나 고용 확대를 공언한 만큼 예년보다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삼성은 지난해 8월 향후 3년간 4만명을 직접 채용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중 1만여명을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 산업 위주로 고용한다는 계획이다.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삼성전자 대표이사에서 고문으로 물러난 고동진·김현석 전 사장이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 달성에 기여한 공로와 함께 퇴직금 명목으로 100억원 이상의 연봉을 각각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전날 공시한 2021년 사업보고서에서 지난해 삼성전자 사내이사 5인에게 지급된 보수 총액은 총 387억4천만원으로, 1인당 평균 77억5천만원 상당이었다. 모바일 부문(옛 IM부문) 대표이사였던 고 고문은 지난해 총 118억4천만원을 연봉으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는데, 급여 11억7천만원, 상여금 40억5천만원, 복리후생 소득 1억9천만원, 퇴직금 64억4천만원을 합친 것이다. 퇴직금이 포함, 전년(67억1천만원)보다 두 배 가까이 불은 고 고문의 임원 근무 기간은 20년이다. 소비자 가전(옛 CE부문) 대표이사였던 김 고문은 지난해 총 103억3천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19년간 임원으로 재직하면서 임원 퇴직금으로 책정된 55억6천만원이 합산되면서 재작년 연봉(54억6천만원)의 2배 가까운 보수를 수령했다. 고문으로 물러난 김상균 전 법무실장과 이상훈 전 사장도 퇴직금 포함, 각각 95억7천만원, 87억5천만원을 수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