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지난해 초 확산을 시작해 전 세계를 감염시킨 코로나19가 지구 전역에서 2억 명이 넘는 인구를 감염시켰다.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우리 시간으로 4일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억18만5500여 명이다. 지난 2019년 우한에서 발생한 원인 불명의 집단 폐렴으로 존재를 알린 이래 1년7개월 만이다. 이날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사망자는 425만7700여 명이다. 월드오미터가 집계한 2021년 세계 인구 기준 2.5%가 코로나19에 감염되고, 0.05%가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른 것이다. 21세기 들어 유례없는 전 세계적 봉쇄 및 국가 간 이동 제한 조치를 불러온 코로나19는 지난 1월26일 누적 확진자 1억 명을 넘겼다.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 빠른 백신 접종이 이뤄졌지만 결국 6개월 만에 또다시 1억 명을 감염시켰다. 세계 권역을 유럽과 북미, 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로 나눈 통계에서는 아시아가 누적 확진자 6278만5700여 명으로 가장 많은 확진자를 냈다. 그중 절반은 3176만7900여 명이 감염된 인도에서 나왔다. 아시아 다음으로 확진자가 많은 유럽에서는 5183만1300여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국내에서 코로나19 델타 플러스 변이 확진자가 확인되면서 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백신·치료제 효과를 저해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에 변이가 발생했기 때문인데, 당국은 아직 감염자 숫자가 적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국내에서 확인된 '델타 플러스' 변이 확진자는 최소 2명이다. 국내 발생 사례인 40대 남성과 미국에서 입국한 50대 남성이다. 40대 남성의 경우 자녀도 확진이 돼 이 자녀 확진자까지 포함하면 사실상 3명이 델타 플러스 확진자다. 당국에 따르면 '델타 플러스'는 인도 언론을 통해 명명됐다. 과학적으로는 델타 변이의 하위 그룹으로, AY1, AY2, AY3으로 분류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려면 먼저 인간의 세포와 결합을 해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중 체내 세포와 결합하는 특정한 부위가 있는데, 이 부위가 스파이크 단백질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확대하면 돌기처럼 보이는 부분이다.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가 활발한데, 어느 부위에 변이가 발생하느냐에 따라 위험도가 달리 평가된다. 개발 중인 백신이나 치료제가 일반적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8월 1~7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유니세프(UNICEF)가 지정한 세계모유수유주간(World Breastfeeding Week·WBW)이다. 산모와 아기에 다양한 장점이 있는 모유수유를 권장하고 독려하기 위해 제정했다. 4일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모유수유 가능 여부 등 산모들이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모아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한정열 교수에게 답을 들어봤다. ◇모유수유 산모가 코로나19 백신 맞아도 되나 모유수유 중인 산모들도 백신 접종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국내 질병관리청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접종이 가능하며, 엄마에게 형성된 항체가 모유를 통해 아기에게 전달됨으로써 아기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히고 있다. 한정열 교수는 "산모들 사이에서 혹시나 백신의 mRNA가 아기에게 전달돼 아기에게 문제를 일으킬지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모유를 통해 아기에게 mRNA가 전달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안심하고 백신 접종을 해도 된다"고 말했다. ◇모유수유를 하면 아기와 산모에게 어떤 점이 좋은가 모유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먼저 아기에게 최적의 영양을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지난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자발적으로 임대료를 감면해준 '착한 임대인'이 10만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임대료를 깎아주고 세액공제를 받은 착한 임대인은 10만3596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전국 18만910명의 임차인에게 4734억원의 임대료를 감면해주고 2367억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다. 정부는 지난해 소상공인의 임대료를 인하해주면 임대료 인하액의 50%를 소득세 또는 법인세에서 공제해주는 '착한 임대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는 세액공제율을 임대료 인하액의 70%로 상향했다. 착한임대인 중 개인사업자는 9만9372명이었다. 이들은 임차인 15만8326명에게 총 4022억원의 임대료를 감면해 줘 총 2011억원의 세액공제를 받았다. 법인은 2020~2021년 신고 기준으로 4584개 법인이 임차인 2만2584명에게 총 712억원의 임대료를 인하해주고 356억원의 세 혜택을 받았다. 법인 수입규모로 보면 10억원 이하 법인이 2596개로 가장 많았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서울의 전용 30㎡ 이하 원룸 평균 전세보증금이 1억6883만원으로 나타났다. 또 강남구와 서초구, 용산구, 강서구의 원룸 평균 전세보증금은 2억원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4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지난 6월 기준 전세 실거래된 서울 연립·다세대, 단독·다가구주택의 전세보증금을 면적과 자치구별로 분석한 결과, 전용 30㎡ 이하 원룸 평균 전세보증금은 1억6883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상승한 수치다. 원룸 평균 전세보증금이 2억원을 넘긴 자치구는 서초구(2억6721만원)와 강남구(2억4483만원), 용산구(2억726만원), 강서구(2억715만원) 등 4곳으로 집계됐다. 양천구(1억9985만원)와 송파구(1억9693만원) 등의 원룸 전세 보증금도 2억원에 육박했다. 다방 관계자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 현상으로 전세 물건이 귀해진 데다 아파트 임대 시세가 오르면서 비아파트 임대 시세도 덩달아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승률로 보면 강북구(9821만원)가 45.9%로 가장 높았다. 금천구(26.7%·1억7275만원)와 성북구(25.6%·1억5257만원), 구로구(22%·1억6824만원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올해 상반기 서울 거주자들의 타 지역 아파트 매입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거주지별 아파트 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6월 서울 거주자가 타 지역 아파트를 매입한 거래량은 3만242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3만1890건)을 넘어서서 200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다. 올해 상반기 서울 거주자가 가장 많이 매입한 지역은 경기도로 1만9641건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 매입량이 가장 많은 곳은 고양시다. 고양시가 1858건, 남양주 1785건, 의정부 1332건, 용인 1260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어 ▲인천(3723건) ▲강원(1647건) ▲충남(1489건) ▲충북(1128건) ▲전북(1058건)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거주자의 타 지역 아파트 매입량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로 확인됐다. 지난해 상반기 서울 거주자의 제주도 아파트 매입 건수는 82건이었는데 올해 상반기에는 164건으로 지난해 대비 100% 상승률(82건)을 기록했다. 서울 거주자들은 경남지역의 아파트를 대거 사들이기도 했다. 지난해 상반기 서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임대차법(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시행 1년이 지나면서 전세시장의 이중가격 형성이 고착화되고 있다. 최근 전세시장에서는 이중가격을 넘어 삼중가격이 등장하는 등 전세보증금이 계단식으로 상승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임대차법 시행 이후 같은 아파트 단지, 동일 평형 내에서 계약갱신청구권이 행사된 계약과 신규계약 간 차이가 최대 2배까지 벌어지는 것에 더해 이제는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는 대신 시세의 60~80% 수준으로 임대료를 인상한 것으로 추정되는 계약들도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임대차시장 투명화와 세입자 보호를 위해 임대차법이 시행됐지만 오히려 전세가격이 급등하고, 이상 가격이 등장하는 등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서울 같은 아파트, 동일 평형 전세가 '5억-8억-11억대' 형성 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고덕그라시움 84㎡형은 지난달 13일 11억원(3층)에 전세계약 됐다. 그런데 같은 달 28일에는 5억7750만원(10층)에 실거래됐다. 같은 아파트 동일 평형의 전세 보증금이 약 2배가량 차이가 나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5억원대 전세는 계약갱신청구권이 행사된 계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지금 누가 집을 팔겠어요?" 지난 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대장주로 통하는 래미안대치팰리스 단지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집값 오를 게 누가 봐도 뻔한데, 오히려 내놓은 매물도 거둬들인 집주인이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정부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때마다 집값이 올라가니 집주인들이 시장을 좀 더 관망하고 있는 것 같다"며 "사실상 거래가 끊긴 상황에서 계약이 이뤄지면 종전 신고가를 뛰어넘고, 호가도 덩달아 오른다"고 전했다. 서울 부동산시장에서 이른바 '강남불패'의 신화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강남지역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 신고가를 경신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일부 단지에서는 아파트값이 3.3㎡(평)당 1억원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 강남지역 아파트값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서울 집값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재건축 기대감 상승과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로 인해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주택 수요 증가 등이 겹친 탓이다. 서울 집값의 '바로미터'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집값을 잡기 위해 정부는 2019년 12·16 대책을 통해 초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를 강화했다. 지난해에는 6·17, 7·1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봉쇄 위기에 처하면서 세계 경제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영국 유력 일간지 텔레그레프가 지적했다. 텔레그레프는 3일(현지시간) '서구에선 경제적 코로나19가 끝났지만 아시아발 충격을 주의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국, 일본, 한국, 극동 호랑이들의 동시적인 코로나19 봉쇄 충격은 세계 경기회복을 경로에서 이탈하게 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이 매체는 앞으로 일주일 정도면 아시아의 델타 변이 확산세가 전면적 봉쇄를 촉발할 만큼 심각한 수준인지 가닥이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10여 개 지역에 델타 변이가 퍼지자 속속 제한 조치를 재도입하고 있다. 도쿄올림픽이 한창인 일본은 일일 신규 감염자가 처음으로 1만명을 돌파했다. 한국 역시 최근 하루 2000명 가까운 역대 최다 수준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국가들의 사정도 녹록하지 않다. 텔레그레프는 "작년 극동 지역에서 효과를 본 '제로(0) 코로나' 전략은 이들 나라가 최대한 빨리 백신 접종을 하는 데 시간을 활용했어야만 의미가 있다"며 "싱가포르는 해냈지만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LG화학이 바이오 원료를 적용한 친환경 인증 제품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G화학은 ISCC Plus 국제 인증을 받은 세계 최초의 ‘Bio-balanced SAP(Super Absorbent Polymer·고흡수성수지)’을 양산해 첫 수출 출하를 개시했다고 4일 밝혔다. SAP 분야에서 ISCC Plus 인증 제품이 상업 판매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io-balanced SAP은 재생 가능한 폐식용유, 팜부산물 등을 활용해 만든 고흡수성수지다. 친환경 바이오 제품 관련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ISCC Plus을 획득한 제품이다. 또 LG화학이 최근 론칭한 친환경 통합 브랜드인 ‘LETZero(렛제로)’가 적용된 첫 사례다. 여수공장에서 출하된 이 제품은 LG화학의 요르단 소재 고객사인 'Baby Life'에 납품돼 유아 기저귀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Bio-balanced SAP의 첫 수출은 지속가능성 전략의 일환이다. 탄소 중립 및 자원 선순환 활동에 집중하고 있는 LG화학과 전세계적인 ESG 트렌드를 선도하고자 친환경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고객사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다. 이처럼 위생용품 분야에서 친환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 맞대결을 펼친다. 코로나19로 실내활동이 증가하자 게이밍 모니터가 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했다. 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1840만대였던 게이밍 모니터 출하량은 올해 40% 증가한 2590만대로 전망하고 있다. 재택근무와 집콕 생활이 길어지면서 집에서 게임을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LG전자는 지난 2일 게이밍 모니터 'LG 울트라기어' 34형 신제품을 출시했다. 출고가는 169만원이다. 글로벌 그래픽 전문 엔비디아가 인증하는 디스플레이 기술 중 최상위 버전인 지싱크 얼티밋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엔비디아 지싱크 칩셋을 탑재하고, HDR(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600을 지원하며 300개 이상의 공식테스트를 통과했다. 신제품은 1㎳ 응답속도, 최대 180㎐ 주사율 등을 구현했다. 나노미터 단위 미세 입자를 백라이트에 적용한 ‘나노 IPS 디스플레이’와 WQHD(3440x1440) 해상도를 통해 풍부한 색을 표현한다. 또 모니터 후면에는 원형 LED 조명인 위닝포스라이팅 2세대를 탑재, 게임 소리와 화면에 맞춰 빛을 발산, 콘텐츠의 역동성과 몰입감을 올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롯데마트는 지난 7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손잡고 중소 콘텐츠 기업 유통 지원을 위한 캐릭터 전문숍 '크림스토어(C★Ream)'를 토이저러스 잠실점, 은평점, 김포공항점에 선보였다고 4일 밝혔다. 크림스토어는 '꿈의 콘텐츠(Content of Dream)'의 약자로 중소 콘텐츠 기업의 유통·판매·홍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식재산권(IP) 가치 상승을 지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크림스토어에서는 50여개 중소 콘텐츠 기업 및 작가가 참여해 300여종 이상의 캐릭터 상품을 선보인다. 인형, 완구, 문구, 잡화류 등 영유아층부터 MZ세대까지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관련 상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매장별 키오스크를 설치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고객 취향에 맞는 나만의 굿즈를 만들 수도 있다. 참여사별 이벤트 외에 캐릭터 그리기, 커스텀 라벨 증정, 에어볼 등 다채로운 체험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롯데마트는 유통 판매처 확보에 난항을 겪는 중소 콘텐츠 기업을 위한 신규 캐릭터 IP 고객 접점을 마련해 주고, 대기업과 중소 콘텐츠 기업간 동반 성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캐릭터 생태계 조성에 힘쓸 예정이다. 특히 토이저러
[파이낸셜데일리 서현정 기자] 국내 첫 출시된 미국 백신 관광 상품이 일주일 만에 '완판'됐다. 본격적인 해외여행 수요로 이어질지 여부를 두고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미주 전문여행사 힐링베케이션은 최근 미국 백신 관광 상품 1차 출발분에 대해 출시 일주일 만에 판매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3일 출시된 이 상품은 고객이 원하는 백신을 선택해 접종할 수 있으며, 선택한 백신의 종류에 따라 체류 기간이 달라지는 여행 서비스다. 백신 접종여부와 상관없이 자가격리가 면제되는 여행지로 떠날 수 있으며 화이자, 얀센 등 자신이 원하는 백신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최소 9박11일에서 최대 25박27일의 일정이며 금액은 700만~1500만원 수준이다. 1차 출발은 50명이며 8월 중순에서 9월초에 집중돼 있다. 여행사 측은 화이자 백신 1·2차 접종을 완료하고 돌아오는 상품이자 약 1500만 원에 달하는 25박27일 장기 체류 상품이 특히 인기가 높았다고 전했다. 문의자들의 연령층은 50~60대 부모님을 둔 30대가 주를 이뤘으며, 상대적으로 백신 접종의 기회가 많지 않은 3040 여성들의 문의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반응에 힘입어 여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 A씨는 지난해 1월 셀프빨래방을 방문해 극세사 이불의 건조가 가능한지 영업소 내 게시물과 관리자에게 문의한 뒤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고 건조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불이 타는 등 훼손돼 배상을 요구하자 사업자는 이불의 취급주의 라벨에 '건조기 사용 불가'가 표시돼 있다는 이유로 배상을 거부했다. #. B씨는 지난해 3월 셀프빨래방에서 5000원 짜리 세탁 코스를 이용하기 위해 5000원을 투입한 뒤 실수로 4000원 코스 버튼을 눌렀다. 하지만 세탁기에는 잔액 1000원에 대한 반환 기능이 없었다.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비대면 거래 선호로 셀프빨래방 이용자들이 늘고 있지만, 세탁물 훼손과 오염, 결제·환불 등 불만이 잇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신청된 셀프빨래방 관련 상담은 지난해 87건으로 2016년(28건)보다 3.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셀프빨래방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는 284건으로 집계됐다. 상담 신청 이유로 세탁물이 찢어지거나 변색되는 등 세탁물 훼손이 41.2%로 가장 많았다. 잔액이 환불되지 않는 등 결제·환불 불만은 20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닉네임 입력과 캐릭터 설정 뒤 '그린타운'에 접속한다. OX퀴즈 시작 시간이 이미 지났다. 여권에 있는 미니맵을 보고 내 위치를 가늠해보고, 퀴즈가 열리는 OX광장으로 방향키를 눌러 빠르게 이동한다. "채식은 숲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7번 문제가 이미 공개됐고, 광장에 모여있는 아바타들은 제각각 O와 X가 적힌 구간으로 이동한다. 정답은 O였다. X를 선택한 아바타들은 아래 탈락자 대기존으로 이동한다. 마지막 문제까지 모두 끝난 뒤 우승자 가운데 추첨을 통해 경품을 지급받는다. 탈락자, 우승자 모두 OX존에 다시 모여 다같이 댄스타임을 가지고, 진행자의 안내에 따라 다시 그린타운으로 이동한다. 유한킴벌리가 33년째 진행하는 사회공헌 활동 '그린캠프'가 2일부터 4일까지 가상의 숲 '그린타운'에서 열렸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대규모의 인원이 모이는 행사를 열기 어려워진 상황을 감안해 올해 처음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접목했다. 행사 둘째 날인 3일에는 오전 11시30분부터 열린 '팅커벨을 찾아라' 이벤트로 문을 열었다. 그린타운 내에서 팅커벨A, 팅커벨B 아바타를 찾아 문제를 받고 귓속말로 정답을 얘기하면 추첨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