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KB금융그룹, 1분기 실적 발표...1분기 당기순이익 1조 4,976억원

금융시장 불확실성속에서도 견고한 기초체력과 이익창출 역량 입증
비은행 부문 수익 비중 41%까지 확대

 

[파이낸셜데일리 정경춘기자]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은 27일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3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였다.

 

KB금융그룹의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 4,976억원을 시현하여 그룹의 견고한 기초체력과 이익창출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이는 전년동기(1조 4,606억원) 대비 2.5%(370억원) 증가한 실적으로, 1분기 중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및 크레딧스위스 위기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증권, 보험계열사 등 비은행 부문의 수익 개선, 지난해 여신성장과 금리상승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개선, 그룹 차원의 비용 효율화 노력의 결실이 가시화된 데 주로 기인한다.

 

KB금융그룹 재무총괄임원은 “어려운 시장여건 하에서도 견고한 기초체력과 다각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우수한 실적을 시현하였고, 그룹의 순이익에서 비은행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41%까지 확대되는 등 그룹의 이익 구성 내용도 한층 개선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주요 경영지표 가운데, 1분기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2.04%로 은행의 자산 리프라이싱 효과 지속 및 탄력적인 조달포트폴리오 관리 노력, 할부금융 중심의 카드자산 수익률 개선이 더해지며 전분기 대비 5bp 상승하였고, Top-Line의 견조한 성장과 지속적인 인력구조 개편, 비용관리의 결실로 비용효율성 지표인 CIR(Cost-to-Income Ratio)은 역대 최저 수준인 35.9%를 기록하며 확연한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금융권 전반에 걸친 신용리스크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고자 그룹 차원에서 보수적 기준의 충당금을 적립한 영향으로 1분기 그룹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은 0.63%를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날 실적발표회에서는 2023년 KB금융그룹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ESG리더십 및 디지털 경쟁력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룹 재무총괄임원은 ESG경영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인 ‘지속가능한 미래와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 금융업 본업의 역량을 활용한 상생 노력과 사회기여활동 노력을 균형감 있게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말 기준 사회적금융 잔액 약 12조원, 작년 한해 동안 2,23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사업을 실시하는 등 실질적인 노력도 이행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올해에도 ‘동반성장, 지역사회, 미래세대 육성’이라는 3대 주요 부문을 중심으로 한 상생 노력을 선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아가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금융업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Digitalization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플랫폼, 콘텐츠, 마케팅 등을 아우르는 전방위적인 관점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을 추진하여 디지털 금융시장 내 Top-Tier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세부 실행방안으로 KB스타뱅킹 중심의 슈퍼앱 전략 추진 및 KB Pay, M-able 등 핵심플랫폼에 대한 역량 집중, 4대 비금융 영역인 부동산, 자동차, 헬스케어, 통신을 중심으로 비금융영역을 확대하여 최고의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고객 중심 No.1 금융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한편, 이날 KB금융그룹 이사회는 1분기 배당으로 주당배당금 510원을 결의하였다.

 

KB금융그룹 재무총괄임원은 “KB금융그룹은 작년부터 분기배당을 정례화하였으며 금번 주당배당금은 올해 초 실행한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의 효과로 전년대비 소폭 확대되었다”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고민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아가겠다”라고 의지를 밝혔다. KB금융그룹은 지난 2월, 약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단행한 바 있다.

 

■ 그룹 부문별 경영실적

 

2023년 1분기 순이자이익은 지난해 은행의 여신평잔 증가와 금리상승에 따른 대출자산 리프라이싱 효과가 꾸준히 이어지며 전년동기 대비 5.1%, 약 1,340억원 증가하였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전반적인 자산성장이 부진한 가운데 시장금리 변동으로 인한 이자비용 증가, 일수감소 등의 영향으로 6.9% 감소했다. 

 

1분기 그룹 NIM은 2.04%, 은행 NIM은 1.79%를 기록하여 전분기 대비 각각 5bp, 2bp 상승하며 견조한 실적 흐름을 견인했는데 이는 핵심예금 이탈 지속에도 불구하고 자산 리프라이싱이 이어짐과 동시에 탄력적인 조달포트폴리오 관리 노력으로 은행 NIM이 확대되고 할부금융 중심으로 카드자산 수익률이 개선된데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2023년 1분기 순수수료이익은 글로벌 Big Deal 수주 등 IB부문 실적호조에 따른 은행 투자금융수수료 증가, 주식 거래대금 증가로 인한 증권수탁수수료 확대, 카드 비용효율성 강화 노력의 결실로 신용카드 수수료이익이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21.7% 증가한 양호한 실적이 나왔다. 

 

한편, 전년동기 대비로는 순수수료이익이 소폭 감소하였는데 이는 작년 1분기 중 증권 초대형 IPO 주관으로 IB수수료가 크게 확대되었던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2023년 1분기 기타영업손익은 시장금리 하락과 증시 반등에 대한 적시적인 대응과 기민한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증권의 S&T 운용손익과 보험사의 유가파생 및 보험금융손익이 큰 폭으로 확대되며 전분기 및 전년동기 대비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참고로, KB손해보험의 보험관련손익의 경우 대형화재 보상 관련 일회성 요인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사고율 감소와 장기보험 손해액 개선세가 지속되며 전분기 대비 약 2,430억원 증가했다. 

 

2023년 1분기 일반관리비는 KB라이프생명 통합에 따른 관련 비용과 신규 전산개발 관련 물건비 및 감가상각비 증가 등에 기인하여 전년동기 대비 5.7% 증가하였으나, 이러한 요인을 제외한 일반관리비는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23년 1분기 그룹 CIR은 35.9%로 견조한 이익 성장 흐름 및 전사적 비용 효율성 제고 노력의 결실로 전년도 연간 CIR 대비 14.3%p 하락하며 확연히 개선되고 있다. 

 

2023년 1분기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전년동기 대비 다소 큰 폭으로 증가 했다. 

 

이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연체율 및 NPL 비율이 상승하는 등 금융권 전반에 걸친 신용리스크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고자 그룹 차원에서 보수적 기준의 충당금을 적립한 것으로 파악된다. 

 

1분기 그룹의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은 그룹 차원의 보수적 충당금 적립 영향으로 0.63%를 기록하였다.

 

KB금융그룹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당분간 선제적이고 보수적인 건전성 관리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 그룹재무상태

 

KB금융그룹의 2023년 3월말 기준 총자산은 691.4조원, 관리자산(AUM)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1,170조원을 기록 했다. 

 

2023년 3월말 기준 그룹 총자산은 증권과 보험계열사를 중심으로 전년말 대비 2.8조원 증가하였고, 그룹의 관리자산(AUM)은 478.6조원으로 증권의 투자자 예수증권과 자산운용의 수탁고 증가에 힘입어 전년말 대비 4.5% 성장 했다. 

 

2023년 3월말 기준 그룹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43%, NPL Coverage Ratio는 196.2%를 기록하여 신용리스크 확대에도 불구, 자산건전성 지표는 여전히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잠재부실에 대비한 업계 최고 수준의 손실흡수력 유지하고 있다. 

 

2023년 3월말 기준 그룹 BIS자기자본비율은 16.84%, 보통주자본비율(CET1비율)은 13.67%를 기록했다. 

 

1분기 중 기업여신 중심의 성장으로 위험가중자산이 증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이익 창출과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 전략적 자본관리를 바탕으로 금융권 최고 수준의 자본적정성 확보하고 있다. 

 

■ 주요 계열사 경영실적

 

KB국민은행의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9,315억원으로 NIM 개선과 순수수료이익 확대에도 불구하고 이번 분기에 선제적으로 코로나 지원 차주 및 PF, 건설업 등 취약부문에 대해 Overlay 방식으로 추가충당금(3,210억원)을 적립한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4.7% 감소 했다. 

 

1분기 은행 NIM은 1.79%로 전분기 대비 2bp 상승. 이는 핵심예금 이탈 지속에도 불구하고 대출자산 리프라이싱 효과가 이어지고 탄력적인 조달포트폴리오 관리 노력에 힘입은 결과로 파악됐다. 

 

다만, 전반적인 여신성장 부진의 영향으로 순이자이익은 전분기 대비 다소 감소했다. 

 

2023년 3월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327조원으로 전년말 대비 0.6% 감소했다.

 

가계대출은 경기둔화 우려 지속에 따른 영향으로 신용대출 및 전세자금대출을 중심으로 여신수요가 감소하며 전년말 대비 2.2% 감소한 반면, 기업대출은 대기업 대출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말 대비 1.0% 증가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2023년 1분기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은 최근 신용리스크 확대에 따른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영향으로 0.40%를 기록하며 다소 높은 수준 기록했다. 

 

2023년 3월말 기준 연체율은 0.20%, NPL비율은 0.23%로 전년말 대비 다소 증가하였으나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NPL Coverage Ratio는 263.9%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잠재부실에 대응한 충분한 손실흡수력을 확보하고 있다. 

 

KB증권은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 1,40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약 2,565억원 증가한 실적으로, 주식거래대금 증가로 인한 수탁수수료 증대 및 금융상품자산 AUM 증대 노력에 의한 WM수익 확대, 시장상황에 기민한 대응을 통한 S&T 운용손익의 큰 폭 개선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IB수수료의 경우 업계 경쟁심화 및 대형 IPO시장 침체, 부동산PF 딜 급감 등 외부요인으로 다소 부진하였으나 전분기 대비로는 소폭 증가 했다. 

 

KB손해보험은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 2,538억원을 기록하여 전분기 대비 3,965억원 증가했다. 

 

이는 대형화재 보상 관련 일회성 요인이 있음에도 불구, 자동차 사고율 감소와 장기보험 손해액 개선세가 지속된것으로 풀이되며 전년동기 대비로도 채권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유가파생손익이 증가하며 약 25.7%가 증가했다. 

 

2023년 1분기 원수보험료는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한 3조 1,911억원을 달성 하였고, 계약서비스마진(CSM)은 약 8.2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2023년 1분기 손해율은 81.7%, 자동차보험 손해율 하락 및 장기보험 손해액 개선세가 지속된데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1.2%p 개선 되었다. 

 

KB국민카드는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 82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57억원 증가했다. 이는 조달비용 상승 등 전반적인 영업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할부금융 중심의 금융자산 수익률 개선 및 비용효율성 강화 노력에 따른 신용카드수수료 이익 증가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2023년 3월말 기준 연체율은 1.19%, NPL비율은 1.21%을 기록하여 전년말 대비 각각 0.27%p, 0.25%p 상승하였으나, NPL Coverage Ratio는 290.7%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손실흡수력을 유지했다. 

 

KB라이프생명은 2023년 1분기 당기순이익 937억원을 기록하여 전년동기 및 전분기 대비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주로 채권금리 하락에 따른 유가파생손익 증가 및 투자수익률 개선에 따른 것이다. 

 

1분기 신계약연납화보험료(APE)는 1,384억원으로 舊)푸르덴셜생명과 舊)KB생명 합병의 영향으로 신규 매출이 다소 부진하며 전년동기 대비 약 57.4% 감소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