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보험가입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한화생명 빅데이터 분석

2011년~2021년까지 10년간 암 보험금 지급 300만건 분석
여성은 유방암 큰폭 증가
남성은 대장암, 전립선암 증가

 

 [파이낸셜데일리 정경춘기자] 한화생명이 당사 보험금 지급 빅데이터로 보험가입자 중 발생 빈도가 높은 암을 분석했다. 

 

생명과 직결되어 고객 관심이 높은 질병인 ‘암(癌)’을 주제로, 지난 10년간(2011년~2021년)의 암 보험금 지급 300만건을 분석했다.

 

보험 통계는 실제 질병 발생 위험이 높은 중장년층이 주 고객층이기 때문에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 통계와 다른 시사점을 도출해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자료는 대·내외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모델 및 컨텐츠를 개발하는 부서인 ‘한화생명 데이터애널리틱스팀(DA팀)’에서 작성했으며, 고객 속성(성별, 연령별)에 따른 질병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 암 보험금 지급 현황

 

코로나19로 주춤했던 암 보험금 지급이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암 보험금 지급 고객수는 2010년 34,052명에서 2021년 56,138명으로 62.7% 증가했다.

 

이에 비례하여 암 보험금 지급금액도 55.0% 증가했다.

 

2021년 한 해 동안, 보험 가입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유방암이 26.0%로 가장 높았고 갑상선암이 22.5%로 뒤를 이었다. 대장암도 10.7%, 위암 10.4%, 폐암 9.8% 순이었다.  

 

반면, 지난해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2019년)의 암 발생순위는 갑상선암,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으로 한화생명의 빅데이터 분석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보험고객의 주 연령대가 40~50대 여성고객이라, 이들의 보험금 청구 비중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된다"고 말했다. 

 

■ 여성의 암

 

여성 유방암은 최근 10년간 지급건수가 2.1배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 전체로 기준으로는, 2010년 대비 2021년 약 1.6배 증가한 것이다. 

 

유방암학회는 "유방암 발병률 증가는 서구화된 식생활, 비만에 아울러 늦은 결혼과 출산율 저하, 모유 수유 감소,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이 원인"이라며 "이는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노출이 유방암 위험을 높이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다른 여성암의 발병률도 증가 추세였다. 10년 사이에 난소암은 1.9배, 자궁암은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자궁경부암은 1.6배, 자궁암 1.5배, 유방암 1.4배로, 여성암의 의료비는 10년간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의 암

 

60대 이상 남성 고령층의 전립선암 발병률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 2030세대 젊은 남성은 ‘대장암’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화생명 측은 "젊은 남성의 대장암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은 식단이 서양식으로 바뀌고, 건강검진의 대중화로 암 조기 발견이 가능해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했다.  

 

일반적으로 대장암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30세대의 암

 

2030 보험가입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남녀를 불문하고 ‘갑상선암’이었다.

 

특히, 2030세대에서 갑상선암은 다른 암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여성은 상위 10개 암 중 47%, 거의 절반이 ‘갑상선암’이었다.

 

전경원 한화생명 DA팀장은 “시대에 따라 발병 질환들은 조금씩 변화한다. 이번 분석으로 불과 10년간이지만 암 발병의 트렌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으로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