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월성1호기 수명연장 결정될까

설계수명이 다한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가동연장 여부를 두고 12일 오전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제2차 심의에 들어간 가운데 해당지역 주민들이 즉각 폐쇄를 요구하며 상경 집회를 강행했다.

원안위는 이날 오전 10시 월성 1호기 설계 수명 연장을 위한 2차 회의에 들어갔다. 이날 회의에는 위원 9명 전원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월성원전1호기가 설계수명 연장 후에도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진다.

민간위원들은 민간검증단이 지적한 32개 개선사항에 대한 실행여부를 따져 물을 계획이다.

원안위는 이날 연장 여부를 원칙적으로 결정짓겠다는 계획이지만 여론 등을 감안해 무리는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은철 원안위원장도 지난 11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에 참석해 "원안위 위원들이 이견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판단이 가능할 때까지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위원회가 열리고 있는 원안위 사무실밖에는 이른 아침부더 해당 지역주민들과 시민단체 회원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월성원전 1호기의 폐쇄를 요구했다.

이들은 월성1호기와 같은 노형인 캐나다의 젠틸리 2호기는 2012년 설계수명이 만료되자 통합안전성평가 등을 실시해 설비개선비용이 당초 1조원보다 4배가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자 수명연장을 포기했다고 강조했다.

월성1호기도 젠틸리 1호기와 같이 최신안전기술을 적용한 결과를 수명연장의 잣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캐나다는 수명연장을 위해 평가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설비개선을 가동전까지 완료토록 했으나 우리는 이런 과정이 무시됐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원전의 수명연장 문제는 단지 기술적인 안전성을 논할 것이 아니라 위험부담을 짊어지고 살아가야 할 국민들이 선택할 문제"라며 "국민들은 이미 월성1호기가 안전하지도 경제적이지도 않으며 당장 폐쇄하더라도 전력수급에 영향이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주요한 정보는 모두 공개치 않으면서 전문가의 판단만을 믿으라는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날 월성원전 1호기의 수명연장 여부는 이날 밤 밤늦게 나올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