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충남도, 국내 복귀 기업 유치전략···"수백억원 지원"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충남도가 코로나19로 해외에서 국내로 복귀하는 기업을 유치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조례 개정과 제도 개선, 현지 설명회 개최를 추진하는 동시에 대규모 보조금을 투입하는 등의 공격적인 유치전략을 펴기로 했다.


도는 최근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국내 복귀 기업 유치 추진 계획’을 마련,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전기장비, 통신장비, 자동차 부품 등 4차 산업혁명 진전에 따라 복귀 잠재력이 높은 첨단기술(IT) 기업들을 유치 목표로 잡았다.


  이들 기업 유치를 위해 우선 국비와 지방비 보조금, 이전 인센티브 등을 투자 규모에 따라 수백억원까지 지원한다.


예컨대 1500억원을 투자해 230억원 규모의 토지를 구입한 뒤 공장을 짓고 500여명을 신규로 고용할 경우, 국비 설비보조금으로 투자금의 14%인 210억원을 지원한다.


여기에 더해 입지보조금으로 토지매입가액의 40%인 92억원을 지방비로, 역시 지방비로 고용보조금의 5%인 75억원, 본사 이전 인센티브 5% 75억원, 시·군비로 대규모 투자 특별 지원 100억원 등을 지원하게 된다.이를 모두 합하면 총 지원 규모는 552억원이 된다.


지원 대상은 2년 이상 해외 사업장 운영, 해외 및 국내 사업장 실질적 지배(지분 30% 이상 보유), 해외 사업장 청산·양도 또는 생산량 축소(25% 이상), 국내 복귀 시 해외 사업장과 동일 업종 운영, 신규 20명 이상 채용 및 타당성 평가 60점 이상 등이다.


국내 복귀 기업 유치를 위해 도는 특히 해외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도내 업체를 접촉, 복귀 의사를 타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최근 코트라를 통해 해외 공장 운영 도내 기업 100여곳의 운영 현황과 복귀 가능성을 분석 중이다.


이와 함께 지난 3월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하반기 ‘충청남도 공유재산 관리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


개정 추진 조례에는 공장용지 수의계약 및 장기 임대(50년), 임대료 산정 및 감면, 석문국가산업단지 임대 부지 우선 입주 등 국내 복귀 기업에 대한 대부료 또는 사용료 감면 규정을 담을 예정이다.


  또 법인·소득세 감면 혜택 산정 시점을 국내 복귀 시점에서 기업 이익이 발생하는 시점으로 변경하고, 국가나 지자체 보증으로 대출이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국내 복귀 의향이 있는 기업의 현지 법인 청산 절차 지원을 위해서는 고문 변호사나 관련 분야 은퇴자 등 전문가를 고용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도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일본 수출 규제 지속 등 대외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코로나19 팬데믹까지 겹치며 국내외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며 “이러한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국내 복귀 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도가 그동안 유치한 국내 복귀 기업은 4개사다. 플라스틱 표면 가공·수출 업체인 케이에프엠은 예산산단에 새 터를 잡고 가동 중이며, 방위사업체인 세진씰은 지난해 7월 당진 송산제2산단 이전 관련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