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가 보험사기 트렌드와 유형별 사기지표, 프로파일링 등이 담긴 '보험사기 유형조사 시스템'을 구축한다.
생명보험협회는 8일 서울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에서 '2017 보험사기근절 선포식'을 열고 보험사기 근절대책 방안을 발표했다.
업계는 한국신용정보원의 금융 빅데이터를 활용해 보험사기 유형별 조사 시스템을 구축해 보험사기 적발실적 및 보장급부, 질병 등 유형별 분석을 통한 대응방한을 마련한다.
협회의 보험사기 담당부서를 '센터'로 격상하고 조직 및 인력을 확충한다. 생보업계 직원 및 전직 간호사로 구성된 협회 보험사기조사지원반도 신설한다.
생보업계 경영진이 보험사기 다발지역에 정기적으로 방문해 수사하고 유관기관 간담회도 개최해 보험사기를 예방한다.
협회에 따르면 2014년 보험사기 누수 추정액은 4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국민 1인당 9만원에 해당하는 피해다.
자동차보험 사기 적발금액 비중은 줄고 있지만 생명 및 실손보험사기 적발금액은 증가추세에 있다.
자동차보험 보험사기 적발 비중은 2005년 77.5%에서 지난해 상반기 44.8%로 줄었다. 반면 생명·실손 관련 보험사기 비중은 같은기간 21.3%에서 52.4%로 늘어났다.
이수창 회장은 "보험사기가 친족살해 등 강력 범죄와도 연관되는 만큼 보험사기 근절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