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주 업무보고와 국무회의 등을 통해 노동개혁 4법 등 쟁점법안 국회 통과를 다시 한번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대국민담화와 기자회견 등을 통해 노동개혁 법안 중 기간제법을 양보하는 대신 나머지 4개 법안을 통과시켜줄 것을 호소한 만큼 이번주에는 공을 넘겨받은 국회에 응답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은 우선 18일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을 주제로 미래창조과학부, 문화체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등 6개 부처로부터 합동보고를 받는다.
이어 19일에는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다. 박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 때마다 국회를 향해 강한 메시지를 내놓은 만큼 이번에도 노동개혁 4법을 포함한 쟁점법안의 처리를 요청할 전망이다.
20일에는 '청년일자리 창출 및 맞춤형 복지'를 주제로 교육부와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복지부·여성가족부 등 5개 부처의 업무보고가 예정돼 있다.
'청년일자리'는 박 대통령이 최근 부쩍 강조하는 화두로, 박 대통령은 이날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 법안 처리를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지난 13일 대국민담화에서 "일자리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차선책으로 노동계에서 반대하고 있는 기간제법과 파견법 중에서 기간제법은 중장기적으로 검토하는 대신 파견법은 받아들여주기 바란다"며 노동개혁법안 일괄처리 방침를 양보한만큼 후속 발언이 나올지 주목된다.
특히 대국민 담화 당시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이 절박하게 호소하는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 4법을 1월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달을 마지노선으로 제시하는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이어 22일에는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주제로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등 3개 부처 업무보고를 받는다.
이날은 북핵 문제와 관련한 박 대통령의 발언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에 대해 추가적인 언급이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대북제재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중국을 향한 추가 메시지가 나올지도 관심사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직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 등을 추진했지만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 주 대국민담화에서 "어려울 때 손을 잡아주는 것이 최상의 파트너"라며 중국의 대북제재 동참을 독려했지만, 중국은 구체적인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