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서 북핵 관련 심도 있는 논의

한·중 양국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가 14일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한반도 정세에 대해 논의했다.

14일 중국 외교부는 공식사이트에 게재한 성명에서 "중국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중국을 방문한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4일 북핵 문제와 한반도 현 정세와 관련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회담에서 논의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앞서 외교부 정례브리핑에서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과 관련 "우리는 현 안보 정세에서 이번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목표, 핵 비확산 체제 수호, 동북아 지역의 평화안정 유지 등 목표가 추진될 수 있도록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훙 대변인은 "현 한반도 정세 속에서 한중 양국 정부는 줄곧 긴밀한 소통을 유지해왔다"면서 "최근(지난 8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과 전화통화를 해 의견을 교환했고 오늘 양국 6자회담 수석대표가 만난다"고 전했다.

북한의 최대 무역국인 중국 측에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더 큰 역할을 해주도록 요청할 것이라는 황 본부장의 한국 출국 전 발언에 관련해 훙 대변인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 핵 비확산 체제 수호, 동북아 지역의 평화안정 유지라는 목표를 실현하는 것은 관련국가들의 공동의 이익에 부합되는 것이고 관련국 모두의 책임"이라면서 "중국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안보리의 관련 결의안이 철저히 이행되도록 노력하고 그에 상응하는 국제적인 책임을 질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또 "현재 안보 정세 속에서 가장 시급한 사안은 관련국이 북핵 문제가 협상의 궤도로 돌아올(6자회담 재개) 수 있도록 공동으로 노력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편 황 본부장은 출국에 앞서 언론에 "북한이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핵 실험을 단행한 만큼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중국의 동참을 촉구하겠다"고 언급했다.

다만 중국 정부는 한반도 정세가 더 악화돼서는 안 되며 대북 제재가 '유엔 안보리라는 큰 틀에서 적절한 수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