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이 15일 일본 도쿄에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국장급 협의를 한다.
이번에 열리는 제11차 한일 국장급 협의는 지난달 11일 서울에서 제10차 협의를 한 지 한 달여 만에 개최된 것으로 연내, 혹은 내년 초 타결 가능성을 가늠할 잣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서는 이상덕 동북아시아국장이, 일본에서는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나선다.
이 국장과 이시카네 국장이 국장급 협의 대표로 마주앉은 것은 앞선 제10차 협의가 처음이었으나, 이들은 예전부터 잘 알고 지낸 '카운터 파트너' 사이로 알려진 만큼 솔직한 입장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최근 두 나라 간 상황에 비춰볼 때 이번 협의에서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다.
우선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두 나라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는 1965년의 한일청구권협정을 근거로 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당시 협정은 채무 관계에 관한 것이었을 뿐, 반인도적 불법행위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이 남아있다며 맞서고 있다.
지난달 열린 제10차 협의에서도 이러한 기류가 이어졌다.
양측은 이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자는 데 공감하면서도 서로의 입장 차이를 다시금 확인하는 선에서 끝났다. 오히려 일본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소녀상에 불편한 심기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두 나라는 도쿄 야스쿠니(靖國) 신사 화장실 폭발 사건과 관련해 신경이 곤두선 상태다.
일본 매체들이 용의자로 지목된 한국인 전모(27)씨의 얼굴을 공개하는 등 신상털기식 보도를 이어가자 한국 정부는 이와 관련해 일본 측에 공식 항의했다. 지난 12일에는 일본 요코하마의 한국총영사관에 인분이 든 상자가 발견되기도 했다.
앞선 제10차 국장급 협의에서 탐색전을 벌였던 두 나라가 이번 제11차 협의에서 어느 정도의 진전을 보이느냐에 따라 타결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