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계와 비박계가 9일 결선투표제 등 공천 룰 문제로 고성을 주고받으며 원색 충돌하자, 김무성 대표가 직접 나서 진화에 나서는 등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발단은 비박계 핵심 이재오 의원이 이날 오전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결선투표제 문제를 공개 비판하면서 비롯됐다.
◇이재오 "누가 결선투표제 합의했나?" VS 이인제 "전혀 문제없어"
이 의원은 "이건 중요한 문제이기에 당헌당규에 그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우리당 당헌당규에는 결선투표제 자체가 없다"며 "후보경선의 중차대한 문제를 의총에서 말도 하지 않고 기정사실화 하는 건 옳지 않다"고 지난 6일 최고위 합의를 비판했다.
이 의원은 또 "절차도 옳지 않고, 특히 수도권에서는 부작용도 많다"고 결선투표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그는 "결선투표에서 떨어진 후보가 본선에서 지원을 하겠나"라며 "진 사람은 지원을 안한다. 1차에서 떨어진 사람도 당선자를 안돕는데 2차 결선투표에서 떨어진 사람이 돕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본선이 따로 있는데 후보 경선을 2번 치르는 제도가 과연 어느나라에 있는건지 모르겠다"면서 "이게 합당한건지. 물론 장점도 있겠지만 현 상황에서는 결선투표는 문제점이 더 클 수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더 나아가 현행 당헌당규대로 당원50%, 일반국민 50%의 경선룰에 대해서도 "신인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야 하는데 그러려면 원내위원장이 관리하는 당원들의 경선 참여 비율을 줄여야 한다"며 "그런데 오히려 당원 권한행사를 50대 50으로 하는건 맞지 않다"고 국민 참여비율을 높일것을 요구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특정지역에서 특정인 배제를 위해 공천 룰을 만든다는 게 사실이면 이게 민주정당에서 특히 국민정당을 표방하는 우리나라에서 공천때만 되면 특정인을 배제하기 위해 새로 제도를 만들고 이렇게 하면 당이 되겠나"라고 친박계를 정면 겨냥했다.
그러자 범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인제 최고위원이 "아무 문제없다"고 맞대응에 나섰다.
이 최고위원은 "결선투표제는 경선의 한 방식으로 이건 당헌·당규와 아무 상관없는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결선투표제는 여러나라에서도 많이 하고 있다"며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도 결선투표를 하고있다"고 이 의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특히 "결선투표제를 전 지역구에서 다 하는게 아니라 1차 경선에서 1등한 사람이 과반인 50퍼센트를 넘지 못할 경우 차점자와 마지막 결승을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1차 예비경선에서 1위 득표자가 과반을 넘지 못해도 차점자와 오차범위 이상 득표차가 날 경우 결선투표제가 필요없다는 비박계의 주장을 일축하는 것이다.
이 최고위원은 더 나아가 "오픈프라이머리든 당내 경선이든 형식이 문제가 아니다. 경선 레이스 자체가 핵심"이라며 결선투표제가 오픈프라이머리의 보완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김을동 최고위원이 나서 "1차에서 50퍼센트를 넘는 득표를 할 수 있는 지역구가 몇 군데가 있겠냐"며 "전무하다고 생각한다"고 반박에 나섰다.
김 최고위원은 "그렇다면 전국에서 결선투표를 해야되는 게 아닌가. 그러면 더욱 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1차 예비경선에서 50% 득표를 올리지 못하더라도 차점자와 득표차가 클 경우, 결선투표없이 바로 후보로 확정해야 한다는 비박계의 논리를 대변하는 것이다.
◇친박계 이장우, 이재오에 반격 가하자…김무성 "중진에게 무례하다"
계파간 충돌은 비공개 회의에서도 계속됐다.
복수의 참석자들에 따르면 친박계 핵심이자 당 대변인을 맡고있는 이장우 의원은 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되자, 이재오 의원의 결선투표제 비판 발언을 조목조목 반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장우 의원은 "이재오 의원의 발언은 부적절하다"면서 "대통령과 당이 시급한 민생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 공개적으로 분란을 일으키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난 7월 유승민 전 원내대표 사퇴 파동 당시 친박계 전위에 선 핵심 인물이다.
그러자 비박계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이 "당 대변인의 발언으로는 부적절한 것 아니냐"며 이 의원의 발언을 즉각 문제삼았다.
결국 참고 있던 김무성 대표도 "오늘은 최고중진연석회의이니 만큼 중진 의원이 한 얘기에 대해 무례하게 발언하지 말라"고 이 의원을 질타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