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제은행(BIS) 회의 참석차 출국했던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조기 귀국해 금융시장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8일 한은 관계자는 "이 총재가 미 대선 등의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기 위해 일정을 하루 앞당겨 귀국해 한은으로 복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중구 한은 본관 8층 회의실에서 주요 간부들이 참석하는 '금융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주재, 미 대선과 관련한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이 자리에서 이 총재는 BIS회의에서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들과 논의한 결과 등을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대응방안 재점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지난 6~7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BIS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5일 출국, 당초 오는 9일 귀국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미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에 불안감이 확대, 이 총재가 서둘러 귀국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지난 9월 말 2000대 초반이었던 코스피지수는 1980선까지 떨어지고, 원·달러 환율도 연일 출렁이고 있다.
이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도 지난 7일부터 금융위 사무처장을 반장으로 하는 비상상황실을 가동하는 등 비상대응체제로 전환했다.
미 연방수사국(FBI)이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후보의 이메일 유출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리면서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낮아지긴 했지만, 두 후보간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아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는 '최순실 사태'로 정치불안이 이어지면서 경제 정책을 총괄할 '콘트롤타워'마저 사실상 마비됐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새 경제부총리로 지명됐지만, 인사청문회 일정조차 불투명한 상황이어 경제 콘트롤타워 공백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 미 대선 결과는 오는 9일 오후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