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설대표 음식 '떡국'…'알고 먹읍시다'

민족 최대 명절 '설'하면 떡국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왜 떡국을 먹는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으레 어른들이 해온대로 접해왔던 떡국. 그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아보자.

떡국의 유래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조선시대의 세시풍속을 담은 '열양세시기'와 '동국세시기'를 살펴보면 설 명절에 없어선 안 될 음식으로 떡국을 꼽는다.

설에 떡국을 먹는데에는 크게 세 가지 설이 있다고 전해진다.

우선 설은 음력 1월1일 새해 첫 날이다.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자는 의미에서 맑은 물에 흰색 떡을 넣은 떡국을 먹었다고 한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설날이면 먹는 떡국은 백탕이나 병탕으로 불렸다. 떡국의 겉모양이 희다고 해 백탕(白湯),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해서 병탕(餠湯)이라 불렸다.

또 가래떡이 양의 기운을 상징하는데 이를 길게 뽑는 것은 가족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졌다.

가래떡을 동전과 같은 둥근 모양으로 써는 것은 조선시대의 엽전 모양에서 비롯돼 재화가 풍족하길 바라는 소망도 깃들어있다고 한다.

또 설날에 먹는 떡국은 첨세병(添歲餠)이라고도 한다. 떡국을 먹음으로써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열양세시기에 따르면 아이들에게 '떡국을 몇 그릇 먹었느냐'고 물어보는 것은 '몇 살이냐'고 묻는 것과 같았다고 한다.

태어나서 떡국을 한 번 먹었으면 1살, 두 번 먹었으면 2살, 이런 식으로 떡국 먹은 횟수가 나이와 비례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떡국도 꼭 한 가지 종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방마다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에 따르면 지방별 떡국의 가장 큰 차이는 떡의 모양이다.

일반적인 것은 가래떡을 썬 떡국이다. 하지만 북측 개성지방에서는 조롱박을 닮은 조랭이 떡을 이용해 떡국을 끓여먹었다.

조랭이 떡은 가래떡을 칼 끝이 뭉툭한 대나무칼로 썰어 조롱박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일반 가래떡보다 더 쫄깃한 맛이 난다.

일부 남부지역에서는 생떡국(날떡국)을 먹었다. 생떡은 가래떡처럼 찐 것이 아니라 쌀가루를 물로 반죽해서 썰은 것을 의미한다.

전라도와 경상도에서는 굴을 넣고 끓인 굴떡국이 대표적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떡 외에도 소고기나 꿩고기도 넣어서 먹었다. 하지만 소고기는 비싸고 꿩고기는 잡기 힘들어서 닭고기로 대신하기도 했다고 전해졌다.

여기에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유래됐다고 한다.

이러한 떡국은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한 그릇당 440~480㎉ 정도로 밥보다 높은 열량과 나트륨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떡국을 먹을 때는 기름기가 적은 반찬을 함께 먹는 것이 좋다고 한다. 실제 조선시대에는 소화를 돕기위해 동치미나 나박김치와 함께 떡국을 먹은 것으로 전해졌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