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 이란 탄도미사일 개발 관련 신규제재 …3명은 북한 미사일 개발과 연관

미국이 이란의 핵개발 의혹과 관련한 서방의 대 이란제재를 푼 지 하루 만인 17일(현지시간) 탄도미사일 개발 및 발사를 이유로 이란에 신규 제재를 가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이란 탄도미사일 개발에 연루된 개인과 기업 11곳에 대한 제재 방침을 발표했다. 이란은 지난해 10월 장거리 유도미사일 ‘에마드’ , 같은해 11월 중거리 탄도 미사일 ‘가드로-110’의 발사 실험을 강행했었다.

OFAC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명단에 따르면, 제재 대상에는 아랍에미리트(UAE)에 본사가 있는 마부루카 무역과 후세인 포나그쉬밴드 대표, 마부루카 무역의 중국과 UAE 자회사 등이 포함됐다. 마부루카 무역은 자회사들을 내세워 제3국을 통해 이란 탄도미사일 개발을 위한 부품들을 조달해왔다고 OFAC는 지적했다.

이밖에 이란을 위해 탄도미사일 부품을 조달해온 이란인 5명도 제재대상으로 지정됐다. 5명은 캔디드 제너럴 무역의 라힘 레자 파르가다니, 샤히드 헤마트 인더스트리얼 그룹(SHIG)의 사예드 자바드 무사비 커머셜 디렉터, 세예드 미라흐마드 누쉰 디렉터, 이란국방병참부(MODAFL)의 부책임자 사예드 메드히 파라히와 간부인 세에드 무하마드 하셰미 등이다.

OFAC는 특히 SHIG의 커머셜 디렉터인 무사비 경우 유엔과 미국의 제재 대상인 북한 조선광업개발회사(KOMID)의 이란 주재 북한 관계자들과 직접적으로 일해왔다고 지적했다. SHIG는 KOMID가 액체 추진 탄도미사일과 우주발사체(SLV)의 발사실험에 쓰이는 밸브, 전자부품, 계측장치를 배에 선적해 이란으로 운송하는 일을 관장했다. 또 지난 수년간 SHIG의 미사일 기술자들이 북한으로 직접 건너가서 북한 정부가 개발하고 있는 80t짜리 로켓 추진체와 관련된 일을 했다고 OFAC는 밝혔다.

OFAC는 MODAFL 관리들인 파라히와 누쉰 역시 SHIG의 각종 금융 거래를 지원하는 한편 북한의 80t급 로켓 추진체 개발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두 사람은 평양으로 직접 건너가 부품도입 계약 협상도 했다.MODAFL은 탄도미사일 개발을 총괄하는 국방부 산하 기구로 알려져있다.

테러리즘 및 금융정보 담담 부차관보 애덤 스주빈은 성명에서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은 지역 및 글로벌 차원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면서 이란 핵제재 해제에도 불구하고 탄도미사일 관련 국제제재를 계속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이란이 장거리 유도미사일 '에마드' 를 발사하고 같은해 11월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를 강행하자 국제사회와 맺은 핵합의를 위반한 것으로 보고 제재를 추진해왔다. 유엔 차원의 제재는 현재 논의 단계에 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7일 백악관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러한 제재를 강건하게 집행할 것이다. 우리는 감시의 눈을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